논문 상세보기

안전한 노인주거환경 개선의 효과 KCI 등재

Effects of Improving Safety Environment of Rural Elderly Resident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57816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300원
대한보조공학기술학회지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ssistive Technology)
대한보조공학기술학회 (The Korean Society of Assistive Technology)
초록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70세 이상 노인이 거주하는 농촌지역 가정을 방문하여 집의 구조적인 문제와 거주자의 신체 건강 상태를 확인하고, 평가를 통해 농촌 주거공간내 안전생활을 진단에 따른 주거환경개선의 효과를 알아보고자 함이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2010년 농업기술센터 용역 사업으로 농촌노인 주거 공간 내 안전생활을 위해 진행되었다. 70세 이상 노 인이 거주하고 있는 농촌마을 2곳을 대상으로 총 25가구를 직접 방문하여 평가 후 주거환경을 개선하였다. 연구 기간은 2010 년 6월부터 11월까지 6개월간이었다. 작업치료학 전공자에 의해 대상 가구의 일반적 주거상태를 인터뷰 후 주거환경평가 체크리스트를 통해 주거공간 내 안전생활의 주된 문제점을 파악하였고 캐나다작업수행측정(COPM)을 이용하여 개선이 필요한 정도는 일상생활에서 어려운 점을 중요도로 평가하였으며, 개선 전후의 일상생활의 수행능력 정도는 수행도와 만족도를 측정 하였다.
결과 : 주거 공간 내 안전생활 진단 후 중재 결과 25가구에 총 170개의 보조도구가 지급되었고 1가구당 평균 6.8개의 보조도구 가 설치되었다. 그 중 설치 빈도가 가장 높았던 항목은 가스자동차단기, 안전손잡이로 각각 21개였고, 미끄럼방지처리, 실버카, 목욕의자 순이었다. 보조도구 지급 전 후 COPM 점수를 비교하였을 때 안전손잡이, 스텝박스(문턱 보조도구), 목욕의자와 좌 변기 안전지지대의 설치 후 수행도가 향상된 반면 만족도는 안전손잡이, 지팡이, 스텝박스, 실버카 순으로 향상되었다.
결론 : 농촌노인을 대상으로 주거 공간 내에서의 안전생활 문제를 도출한 후 주거환경개선을 실시한 결과 만족도와 수행도가 높았다.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firm the problems inherent in the residential structures and physical health status of elderly at-home residents. Also, after an evaluation inspection of the safety level in the residential structures,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improving safety environment of rural elderly Residents
Methods : This research was supported by Service Business from Agriculture Technique Center in 2010. The complete sample consisted of a total of 25 units in rural household elderly aged 70 or older. This study was conducted during 6 months(between June and Nomember, 2010). The participants were asked to be interviewed by graduate OT students(M.S., Ph.D.) and the topics included their general residential status, performance, and satisfaction before intervention by checklist. After a consultation in order of precedence, the manufacturers were requested to modify the residential environments. After intervention, the participants were asked to be interviewed again regarding their satisfaction of the remodeling within the following week or so by COPM.
Results : The results indicated that modifications were conducted for 170 itemsin the 25 units, or an average of 6.8 items per unit. The most common installation items were 21 automatic gas circuit breakers, 21 grab bars, non-slip mats, walking assistants for the elderly, and bath seats. The consultation results show that the performance score was increased for the grab bar, the step box and bath seat, toilet, and safety support. Also, the satisfaction score was increased for the grab bar, cane, and the step box and silvercar.
Conclusion : The results of improvement of rural residential environment for rural elderly residents show that performance and satisfaction score were increased.

목차
국문초록
 I. 서 론
 II. 연구 방법
  1. 연구 대상 및 절차
  2. 주거공간내 안전생활을 위한 진단
 III. 연구 결과
  1. 연구 대상가구의 일반적 특성
  2. 주거환경개선
  3. 주거환경개선 전후 수행도와만족도 비교
 IV. 고 찰
 V. 결 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
  • 박혜연(연세대학교 대학원 재활학과) | Park Hae-Yean (Dept. of Rehabilitation, Graduate School of Yonsei University)
  • 조덕연(연세대학교 대학원 재활학과) | Cho Duk-Youn (Dept. of Rehabilitation, Graduate School of Yonsei University)
  • 이주현(연세대학교 대학원 재활학과) | Lee Joo-Hyun (Dept. of Rehabilitation, Graduate School of Yonsei University)
  • 김한솔(연세대학교 대학원 재활학과) | Kim Han-Sol (Dept. of Rehabilitation, Graduate School of Yonsei University)
  • 정민예(연세대학교 보건과학대학 작업치료학과) | Jung Min-Ye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Yonsei University) 교신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