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생활체육 참여 정도가 신규 은퇴자의 심리적 적응에 미치는 영향: 은퇴 만족도, 삶 만족도, 인지기능, 우울을 중심으로 KCI 등재

The Influence of Exercise Participation on Psychological Adjustment in Retiree: Focusing on the Retirement Satisfaction, Life Satisfaction, Cognitive Function, and Depression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57871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Korean Society of Sport Psychology (KJSP))
한국스포츠심리학회 (Korean Society Of Sport Psychology)
초록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신규 은퇴자의 생활체육 참여여부, 참여빈도, 참여시간, 참여기간이 은퇴자의 심리적 적응, 구체적으로 은퇴 만족도, 삶 만족도, 인지기능, 우울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하는 것이다. 방법: 제 5차 한국고령화연구패널조사 자료 중 인구사회학적 변인, 은퇴 만족도, 삶 만족도, 인지기능, 우울을 측정하는 문항에 대한 응답 자료를 사용하였으며, 은퇴 후 2년이 경과되지 않은 신규 은퇴자 270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인구사회학적 변인의 효과를 통제하고도 생활체육 참여여부에 따라서 은퇴 만족도, 삶 만족도, 인지기능, 우울이 유의한 차이를 갖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일원 공분산분석을 수행하였다. 또한, 생활체육에 참여하는 은퇴자의 경우, 생활체육 참여빈도, 참여시간, 참여기간이 인구사회학적 변인의 효과를 통제하고도 은퇴 만족도, 삶 만족도, 인지기능, 우울에 유의한 영향을 끼치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위계적 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결과: 첫째, 은퇴 만족도의 경우, 규칙적 생활체육 참여인과 비참여인 간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그러나 은퇴 전부터 생활체육에 참여했던 은퇴자는 은퇴 후에 생활체육에 참여하기 시작한 은퇴자보다 은퇴 만족도가 높았으며, 1회 참여시간이 길수록 은퇴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삶 만족도의 경우, 규칙적 생활체육 참여인이 비참여인보다 유의하게 더 높았지만, 참여빈도, 참여시간, 참여기간이 삶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은 끼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인지기능의 경우, 규칙적 생활체육 참여인이 비참여인보다 유의하게 더 좋았다. 또한 은퇴 전부터 생활체육에 참여한 은퇴자가 은퇴 후에 생활체육에 참여하기 시작한 은퇴자보다 인지기능이 더 좋았다. 넷째, 우울의 경우, 규칙적 생활체육 참여인과 비참여인 간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그러나 1회 생활체육 참여시간이 길수록 우울 수준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은퇴자의 생활체육 참여 정도가 은퇴 만족도, 삶 만족도, 인지기능, 우울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임을 규명하였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exercise participation on psychological adjustment, especially focusing on retirement satisfaction, life satisfaction, cognitive function, and depression in retiree. Methods: The study used 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ing Wave 5 data. Participants included 270 retirees who retired within two years. One way ancova and hierarchical regression were conducted to identify the effect of exercise participation on psychological adjustment, controlling for sociodemographic variables. Result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exercise participation was not associated with retire satisfaction, but the period of exercise participation and the time of exercise participation predicted retire satisfaction. Second, exercise participation was associated with life satisfaction. Third, exercise participation was associated with cognitive function, and the period of exercise participation predicted cognitive function. Fourth, exercise participation was not associated with depression, but the time of exercise participation predicted depression. Conclusion: This study identified the influence of exercise participation on psychological adjustment, focusing on retirement satisfaction, life satisfaction, cognitive function, and depres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exercise participation is important to maintain and improve psychological adjustment for retiree.

목차
I. 서 론
 Ⅱ. 연구방법
  1. 연구대상
  2. 측정도구
  3. 자료 분석
 Ⅲ. 결 과
  1. 측정변수의 기술통계
  2. 평균차이분석
  3. 다중회귀분석
 Ⅳ. 논의
 참고문헌
저자
  • 김지연(국민대학교) | Ji-Yeon Kim (Kookmin University)
  • 홍준희(국민대학교) | Jun-Hee Hong (Kookmin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