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한국판 정서적 자기효능감(ESES-K)의 타당성과 대학생의 스포츠 참여와의 관계 KCI 등재

Validation of The Korean Version of Emotional Self-Efficacy Scale(ESES-K) and Relationship with Sports Participation of University Student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57891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Korean Society of Sport Psychology (KJSP))
한국스포츠심리학회 (Korean Society Of Sport Psychology)
초록

목적: 정서적 자기효능감 척도의 요인구조 확인 및 타당성을 검증하고, 대학생의 스포츠 참여와의 관계를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방법: 연구대상은 대학생 639명이었으며, Kirk 등(2008)이 개발한 정서적 자기효능감 척도가 번안되었다. 문항의 타당성을 확보하기 위해 Rasch 모형을 적용하여 부적합 문항을 제거하였다. SPSS 무작위 표본추출 기능을 이용하여 여러 번의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함으로써 선행연구와 이론적 근거에 기초한 요인구조를 얻는 새로운 방법을 시도하였다. 이 요인구조를 사용하여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한국판 정서적 자기효능감(ESES-K)은 4요인 19문항: ①자신의 정서관리 4문항, ②타인의 정서 이해 7문항, ③자신의 정서이해 4문항, ④타인의 정서다루기 4문항으로 구성되어있다. 정서적 자기효능감이 모든 요인에서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높았고, 스포츠 참여집단이 비참여 집단보다 높았으나, 성별 집단에서 타인의 정서다루기 요인만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결론: ESES-K는 대학생의 정서적 자기효능감을 타당성 있게 측정할 수 있는 척도이며, 대학생의 스포츠 참여가 정서적 자기효능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하나의 방안으로 제시되었다.

Purpose: This study is to confirm the factor structure of the emotional self-efficacy scale and to validate it, and to examine its relationship with sports participation of university students. Methods: The subjects were 639 university students. The emotional self-efficacy scale developed by Kirk et al. (2008) was translated. The Rasch model was applied to secure the validity of the items and the unfit items were eliminated. In order to obtain the factor structure based on the previous research and theory, a new attempt was made to use a random sampling of SPSS and to perform exploratory factor analysis several times. Using this factor structur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as performed. Results: ESES-K(Korean Version of Emotional Self-Efficacy Scale) is composed of 4 factors with 19 items: 4 items for managing your own emotion, 7 items for understanding others' emotion, 4 items for understanding your own emotion and 4 items for dealing with others' emotion. In all factors of emotional self-efficacy, male students had emotional self-efficacy higher than female students, and sports participation students had it higher than non-participation students, but only the factor for dealing with others' emotion in gender group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Conclusion: ESES-K can be a scale which can measure emotional self-efficacy of university students reasonably and sports participation of university students is suggested as a way to improve emotional self-efficacy.

목차
I. 서 론
 Ⅱ. 연구방법
  1. 연구대상
  2. 연구 도구
  3. 탐색적 요인분석 방법의 새로운 시도
  4. 자료 분석 및 절차
 Ⅲ. 결 과
  1. 설문지 번역 및 선행연구의 검증
  2. Rasch 모형에 의한 문항의 타당성 검증
  3. 요인분석
 Ⅳ. 논의
 Ⅴ. 결론
 참고문헌
저자
  • 원효리(국민대학교) | Hyo-Ree Won (Kookmin University)
  • 홍준희(국민대학교) | Jun-Hee Hong (Kookmin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