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나이, 성별, 교육 수준이 노인의 시지각 능력에 끼치는 영향 KCI 등재

Influence of Age, Sex, and Education to the Visual Perception Ability in the Elderly Population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57893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대한보조공학기술학회지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ssistive Technology)
대한보조공학기술학회 (The Korean Society of Assistive Technology)
초록

목적 : 본 연구는 MVPT-3(Motor Free Visual Perception Test-3)을 사용하여 나이, 성별, 교육 수준이 노인의 시지각 능력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알아보고, MVPT-3의 한국형 표준화작업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연구방법 : 연구 대상은 G시에서 실시한 건강 검진을 위해 보건소에 방문한 뇌손상 경험이 없거나 치매 진단을 받지 않은 60 세 이상 노인 72명이였으며, 자료 수집은 면접조사와 MVPT-3을 사용하여 대상자의 시지각 능력을 평가하였다.
결과 : 연구결과 MVPT-3의 평균값은 남자가 28.74±7.79, 여자가 26.18±6.99로 남자가 여자보다 높았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다. 연령 간 차이를 보면 MVPT-3의 총점은 65세 미만이 29.54±7.94, 65세 이상은 26.32±7.01로 65세 미만에서 높은 점수를 보였고, MVPT-3의 기타 항목별 점수는 65세 미만에서 모두 높은 점수를 보였다. 항목별 점수는 시각적 완성(visual closure1)에서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교육 수준별로 살펴보면 초졸인 경우 MVPT-3의 평균값이 23.91±6.31이었으며, 중졸이상에서는 평균이 30.84±7.01이었다. 학력이 높을수록 점수가 높았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값을 보였다(p<.05). MVPT-3의 총점과 하위항목 간 점수별 상관관계 분석 결과 전정배경(figure ground)을 제외하고 모든 항목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결론 : MVPT-3을 이용하여 노인의 시-지각 능력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알아본 결과 성별에 따라서는 차이가 없고 연령과 교육수준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이는 시지각 관련 평가를 수행하는데 있어 성별, 나이, 교육의 영향을 이해하고, MVPT-3의 표준화 작업 이전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의미가 있을 것이다. 앞으로의 연구에서는 연령 범위를 좀 더 세분화하고 연구 대상자수를 확대하며 정상 노인과 환자군으로 나누어 비교해야 할 것이다.

Objective :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age, sex, and education on the visual perception in the elderly population using the MVPT-3(Motor Visual Perception Test-3) and provide basic date for Korean standardization work of MVPT-3.
Methods : The subject were 72 healthy seniors, aged 60 or older who have no any cerebral disease experiences and no dementia diseases. The examination project was sponsored by the G city and it was held at the public health center. The data was colledted by the interview and visual perception evaluation using the MVPT-3.
Results : The age or gender of the participants did not grossly affect the outcome of visual perceptions of the elderly using the MVPT-3. The difference between educational levels affected the outcome. Between the sum of MVPT-3’s marks and subitems, they statistically showed a significant correlation at all levels except the correlation between figure ground.
Conclusion : Result of the research about visual perception ability of the elderly by MVPT-3 showed that there is no difference between genders but there are differences of ages and education levels on the visual perception ability. It will help us to understand influence of gender, age and education level to perform evaluation about visual perception ability. It will mean to provide base data before standardization work of MVPT-3. We should increase range of ages and number of surveyed people in research. Also, we should compare normal group and patients group separately.

목차
국문초록
 I. 서 론
 II. 연구 방법
  1. 연구 대상
  2. 측정 도구
  3. 연구 절차
  4. 자료 분석
 III. 연구 결과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2. 성별에 따른 MVPT-3 점수
  3. 나이에 따른 MVPT-3 점수
  4. 교육 수준에 따른 MVPT-3
  5. MVPT-3 항목 간 상관관계
 IV. 고 찰
 V. 결 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
  • 이혜선(전남대학교 대학원 보건학과) | Lee Hye-Sun (Dept. of Public Health, Graduate School of Chonnam National University) 교신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