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노인의 생활체육 참여 정도가 주관적 건강, 노화태도, 삶 만족에 미치는 영향 : 변인 간 관계를 중심으로 KCI 등재

The Influence of Exercise Participation on Subjective Health, Attitude toward Own Aging, and Life Satisfaction in Older Adults: Focusing on the Relationship among Variable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57896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Korean Society of Sport Psychology (KJSP))
한국스포츠심리학회 (Korean Society Of Sport Psychology)
초록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의 생활체육 참여 정도의 지표인 참여여부, 참여빈도, 참여시간, 참여기간이 주관적 건강, 노화태도, 삶 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생활체육 참여 정도, 주관적 건강, 노화태도, 삶 만족의 관계를 검증하는 것이다. 방법: 설문조사에 참여한 만 65세 이상 남녀 노인 166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신뢰도 검사를 실시하고, 생활체육 참여여부에 따른 세 심리적 변인의 차이를 확인하기 위하여 평균 차이 검증을 수행하는 한편, 생활체육에 참여하고 있다고 응답한 109명의 자료를 대상으로 생활체육 참여빈도, 참여시간, 참여기간이 세 심리적 변인에 영향을 끼치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또한, 경로분석을 수행하여 연구모형과 두 가지 대안모형의 모형 적합도를 비교하여 연구모형의 적절성을 확인한 후, 가정한 변인 간관계가 유의한지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부트스트래핑을 수행하여 생활체육 참여기간과 삶 만족 사이에서의 주관적 건강과 노화태도의 매개효과와 생활체육 참여기간과 노화태도 사이에서의 주관적 건강의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결과: 첫째, 주관적 건강 수준은 생활체육 참여 노인이 생활체육 비참여 노인보다 더 좋았지만, 노화태도와 삶 만족은 두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생활체육 참여 노인의 경우, 생활체육에 참여한 기간이 길수록 주관적 건강 수준이 더 좋고, 노화태도가 더 긍정적이고, 전반적인 삶 만족도가 더 높았지만, 생활체육 참여빈도와 참여시간은 세 종속변인에 유의한 영향을 끼치지 않았다. 둘째, 가정한 연구모형이 대안모형에 비해 더 적절하였으며, 각 변인의 관계는 가정과 일치하였다. 셋째, 생활체육 참여기간과 노화태도의 사이에서 주관적 건강의 간접효과는 유의하였다. 넷째, 생활체육 참여기간과 삶 만족의 사이에서 주관적 건강과 노화태도의 간접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결론: 노인의 생활체육 참여 정도가 주관적 건강, 노화태도, 삶 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생활체육 참여기간, 주관적 건강, 노화태도, 삶 만족의 관계를 규명하였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exercise participation related variables on subjective health, attitude toward own aging, and life satisfaction in older adults. Methods: Using 166 older adults’ data from the survey, t-test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to identify the effect of exercise participation related variables on subjective health, attitude toward own aging, and life satisfaction. In addition, path analysis was conducted to the hypotheses. Result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Exercise participation was associated with subjective health and the period of exercise participation predicted subjective health, attitude toward own aging and life satisfaction. Second, the hypothetical model among variables showed reasonable model fit. Thir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eriod of exercise participation and attitude toward own aging was mediated by subjective health, bu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eriod of exercise participation and life satisfaction was not mediated by subjective health and attitude toward own aging. Conclusion: This study identified the effect of exercise participation related variables on subjective health, attitude toward own aging, and life satisfaction in older adults. Also, this study ascerta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eriod of exercise participation, subjective health, attitude toward own aging and life satisfaction.

목차
I. 서 론
 Ⅱ. 연구방법
  1. 연구대상
  2. 측정도구
 Ⅲ. 결 과
  1. 기술통계
  2. 평균차이 검증
  3. 다중회귀분석
  4. 경로모형 검증
  5. 간접효과 검증
 Ⅳ. 논의
 참고문헌
저자
  • 김지연(국민대학교) | Ji-Yeon Kim (Kookmin University)
  • 홍준희(국민대학교) | Jun-Hee Hong (Kookmin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