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동기수준에 따른 자기통제 피드백의 제시가 축구 드리블 과제의 학습에 미치는 효과 KCI 등재

Learning Effect of Self-Controled Feedback by Motivation Level in Task Participation of Soccer dribble Skill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58409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Korean Society of Sport Psychology (KJSP))
한국스포츠심리학회 (Korean Society Of Sport Psychology)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학습자의 동기수준에 따른 자기통제 피드백의 제시가 축구 개방기술 과제(드리블 과제)의 학습에 어떠한 차별적 영향을 미치는지를 규명하는 것이었다. 근본적으로는 이전의 연구(육동원, 윤용진, 이한우, 2005)로서 폐쇄기술과제에서 나타난 ‘동기수준에 따른 자기통제 피드백의 차별적 학습효과’가 개방기술 과제에서도 유효하게 나타날 것인지를 검증하였다. 연구대상은 중학교 남학생 40명이었으며, 동기 검사지를 통하여 동기수준이 높은 집단 20명(self-control group:10명, yoked group:10명)과 동기수준이 낮은 집단 20명(self-control group:10명, yoked group:10명)으로 분류되었다. 본 연구에 사용된 과제는 Crew(1968)의 축구 기능테스트 중 축구 드리블과제를 사용하였다. 둘째 날과 셋째 날 이루어진 습득단계와 파지단계는 각각 2(동기수준)×2(피드백)×6(분단), 2(동기수준)×2(피드백)×2(분단)요인 설계 하에 이루어 졌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a) 습득단계와 즉각 파지검사에서 고동기 집단이 저동기 집단보다, 자기통제 집단이 동반집단보다 우수한 드리블 수행능력을 보였다. 상호작용의 분석결과, (b) 피드백 형태에 따른 분석에서 자기통제 집단과 동반집단 모두에서 고동기 집단이 저동기 집단보다 우수한 학습효과를 보여주었으며, (c) 동기수준에 따른 분석결과, 고동기수준에서는 자기통제 집단이 동반집단보다 유의하게 우수한 드리블 학습효과를 보여준 반면, 저동기 수준에서는 자기통제 집단과 동반집단 간에 어떠한 차이도 발견할 수 없었다. 이는 이전의 연구(육동원 등, 2005) 결과와 일치하는 것으로서 개방기술과제에서도 동기수준이 자기통제의 학습효과를 결정하는 주요인일 수 있음을 증명하는 결과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distinct influences of self controlled feedback on students’ learning and to provide more effective methods for teaching various students who have different levels of motivation. The test subjects were 40 middle school male students who had no information about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test subjects constituted a highly motivated group(10 self-controlled students and 10 yoked students) and a low motivated group(10 self-controlled students and 10 yoked students) who were placed into the appropriate group based on the results of their motivation level. The task used in this research was dribble which is one of the soccer skill tests for Crews(1968). On the first day, Subjects participated in pilot test.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dribble skill between two groups(high and low motivated group) after analysing the data collected during the pilot tests. The data analysis of acquisition phase and retention tests were carried out under 2(motivation level)×2(feedback group)×6(block) or 2(motivation level)×2(feedback group)×2(block) factorial design with repeated measures on last factor. The following results were reached by analysing the test data. (a) high-motivated groups were more effective than low-motivated groups at acquisition phase and immediately retention test. (b) self-controlled groups were more effective than yoked groups at acquisition phase and immediately retention test. (c) according to delayed retention phase' interaction of motivation×feedback, self controlled feedback group were more effective than yoked group at high motivation level whereas, there was no significant between two groups in low motivation level. This study proves that motivation level is important factor not only opened skill learning of soccer but also closed skill learning of soccer. Moreover, This results support Yook et al(2005)' opinion.

저자
  • 이한우(국제디지털 대학교) | Han Woo Lee 교신저자
  • 양경란(백양중학교) | Kyung Ran Yang
  • 육동원(연세대학교) | Dong Won Yook
  • 고의석(연세대학교) | Wi Sug Ko
  • 김지수(연세대학교) | Ji Soo Kim
  • 신정택(연세대학교) | Jung Taek Sh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