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고교축구팀의 집단 응집력과 집단 효능감 및 구조적 관계 KCI 등재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Group Cohesion, Collective-Efficacy, and Performance in High school Soccer team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58520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Korean Society of Sport Psychology (KJSP))
한국스포츠심리학회 (Korean Society Of Sport Psychology)
초록

본 연구는 고교축구팀의 집단 응집력과 집단 효능감 및 대회 성적 간의 구조적 관계 모형을 설정하고, 이 모형의 적합성과 각 변인간 관계를 세부적으로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고교축구연맹전에 참가한 18개 팀을 대상으로 집단 응집력과 집단 효능감을 측정하였고 팀 성적에 대한 자료는 팀별로 참가한 게임 수가 동일하지 않은 점을 고려하여 총 승점을 경기 수로 나눈 게임 당 승점으로 처리한 후, 고교축구연맹전 이전까지의 팀 성적을 사전 성적, 고교축구연맹전 팀 성적을 사후 성적으로 구분하였다. 빈도 분석, 상관 분석 및 공분산 구조 분석을 통하여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팀의 집단 응집력과 집단 효능감 및 사전사후 성적 간 구조적 관계 모형의 적합도는 통계적 수준에서는 양호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구조적 관계 모형의 각 변인간 관계를 분석한 결과 성적과 사회 응집력간의 관계를 제외한 모든 관계에서 유의미한 정적 영향관계가 나타났으며 사회 응집력은 사후성적에 유의미한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집단의 성공적 수행과 관련한 집단 응집력 및 집단 효능감 연구에서 과제 응집력과 사회 응집력 차원의 분리 적용에 대한 필요성이 확인되었고 아울러 집단 응집력과 집단 효능감의 수행에 대한 상호 매개역할이 부분적으로 검증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test out the fitness of the structural model composed of group cohesion, collective-efficacy, and performance which is based on results and theories in group dynamics and to verify the effect-relationships among these variables in high school soccer teams. 18 teams which participated in The autumn High school Soccer League were selected as subject and we measured group cohesion and collective-efficacy of these teams. Performance was operationally defined as the win-point per game in consideration of the various number of game. Then pre-performance and post-performance were divided as basis of the time when The autumn High school Soccer League began. Analysis of correlation and covariance structure model(using the AMOS program) was used to verify the proposed model and the hypothesis in the study. We obtained following results by the analysis of collected data. First, the structural model turned to be comparably unsuitable to Korean high school soccer teams. Second, the effect-relationships among the variables in the structural model turned to be positively significant except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performance and social cohesion. Moreover, there were negativ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cohesion and post-performance. As the basis on these results, we could confirm the need that we should apply to the separated dimension of task and social in studies related to cohesion and partially verify the intermediation of cohesion and collective-efficacy to performance.

저자
  • 최진(공군사관학교) | Jean Choi
  • 이홍식(서울대학교) | Hong Sik Lee 교신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