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집중연습과 분산연습이 순차적 타이밍과제의 학습 및효과기 전이에 미치는 영향 KCI 등재

The Effects of Massed and Distributed Practice on the Learning and Effector Transferin a Sequential Timing Task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58831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Korean Society of Sport Psychology (KJSP))
한국스포츠심리학회 (Korean Society Of Sport Psychology)
초록

본 연구는 연습구조의 다양성이 순차적 타이밍과제의 수행에 있어서 절대시간(absolute timing)과 상대시간(relative timing)의 학습과 전이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에 대하여 규명하였다. 실험1에서는 각 하위요소가 서로 다른 시간적 구조를 갖고 있는 타이밍과제(300, 500, 200, 200, 400ms)를 사용하였다. 참가자들(n=18)은 각 2개의 그룹으로 무선배정 되었다. 집중연습그룹은 총 45시행으로 구성된 연습시기 사이에 10분의 시간간격을 두고 총 3번의 연습시기를 하루에 집중적으로 연습하였으며, 분산연습그룹은 연습시기 사이에 약 24시간의 시간간격을 두고 매일 한 연습시기씩 총 3일 동안 동일한 과제를 연습하였다. 실험결과, 상대시간의 학습에서 두 그룹은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 손의 순서를 바꾸어 동일한 타이밍과제를 수행하게 한 전이검사에서는 분산연습그룹이 집중연습그룹보다 효과적인 전이를 보여주었다. 절대시간 측정변인의 경우 분산연습그룹이 집중연습그룹보다 더욱 우수한 절대시간의 학습과 전이를 보여주었다. 실험2에서는 타이밍과제의 복잡성을 조작하여 상대적으로 난이도를 낮추었을 때 연습방법에 따른 효율성에 어떠한 차이가 생기는지 조사하였다. 이를 위해 실험2에서는 타이밍과제를 구성하고 있는 각 하위요소의 시간적 구조가 동일한 과제(각 키 당 320msec)를 수행하게 하였다. 실험결과, 분산연습방법이 집중연습방법보다 난이도를 낮춘 단순화된 타이밍과제를 수행함에 있어서도 상대시간의 전이와 절대시간의 학습 및 전이에 있어서 더욱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이러한 연구결과는 연습구간 사이에 다른 과제나 부가적인 연습 등이 없이 상대적으로 긴 비활동 기간을 가지는 것이 연습을 통해 학습된 타이밍 정보가 뇌에서 충분히 병합되고 공고화되는 과정을 더욱 촉진시켜 운동기술의 학습에 있어서 긍정적인 효과를 준다는 기억공고화(memory consolidation) 가설과 맥락을 같이 한다.

The effects of various practice structure on the learning and effector transfer of relative and absolute timing during a sequential timing task were examined. In Experiment 1, participants (n = 18) attempted to learn to produce a sequential timing of 5 key presses with a specific absolute-timing pattern (300ms, 500ms, 200ms, 200ms, 400ms). For 1-Day group the practice sessions (45 trials each) were separated by 10 min rest while for 3-Day group the sessions were separated by 24 hour rest.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groups in the learning of relative timing. However, 3-Day group was able to execute the timing sequences better than 1-Day group when they reversed the hand used to execute the timing sequence. Also, 3-Day group exhibited enhanced absolute timing performance during the retention and effector transfer phases. In Experiment 2, in an attempt to test how the complexity of the timing task affects the learning and effector transfer of a sequential timing task we utilized a relatively simplified timing task of 5 key presses with a uniform absolute-timing pattern (320 ms each). The results replicated the results of Experiment 1: 3-Day groups showed effective transfer of relative-timing information, and enhanced learning and transfer of absolute-timing information even though the task complexity was quite low. These results are consistent with the notion of memory consolidation in that relatively long periods of inactivity between practice sessions without disruption of additional practices may lead to enhanced performance by promoting the process of consolidating the learned timing information during practice.

저자
  • 정민혜(고려대학교) | Min Hea Chung
  • 송용관(고려대학교) | Yong Gwan Song
  • 박진훈(고려대학교) | Jin Hoon Park 교신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