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청각적 맥락간섭이 골프스윙 학습에 미치는 영향 KCI 등재

The Effects of Auditory Contextual Interference on Learning in a Golf Swing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59245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Korean Society of Sport Psychology (KJSP))
한국스포츠심리학회 (Korean Society Of Sport Psychology)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청각적 맥락간섭이 골프스윙의 타이밍과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 것이다. 연구 대상자는 12명의 대학생으로 각 3명씩 구획연습집단, 무선연습집단, 일정연습집단, 통제집단으로 나누어 실험에 참여하였다. 습득 단계에서는 24회를 1블럭으로 총 144회의 골프 스윙을 하였으며, 약 24시간 후에 파지 및 전이 검사를 실시하였다. 이때 사용된 골프 클럽은 7번 아이언으로 수행자는 스윙 전에 제시되는 청각정보와 일치하는 백스윙 시작-백스윙 종료(포워드 스윙 시작)-임팩트-폴로스로우 동작을 수행하도록 지시받았다. 실험자는 4개의 비프음 형태의 청각정보를 구획연습집단, 무선연습집단, 일정연습집단에 제공하였는데 산출된 기초 자료를 기술적 통계와 변량분석을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습득 단계에 있어서 구획연습집단이 다른 세 집단에 비하여 상대적 타이밍, 동작 안정성이 향상되었는데 이러한 결과는 운동수행 변화에 있어서 구획연습이 효과적인 연습 방법임을 보여준다. 둘째, 파지 및 전이 단계에서 맥락간섭 효과가 높은 무선연습이 상대적 타이밍 학습과 동작의 안정성 학습에 효과적이었다는 점으로 보아 맥락간섭이 높을수록 운동학습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셋째, 청각정보를 받지 않은 통제집단은 다른 세 집단에 비하여 상대적 타이밍과 동작 안정성의 학습 효과가 가장 낮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론을 종합해 보면, 본 연구는 짧은 연습 기간에도 불구하고 초보 수준의 골프 스윙 경험을 가진 대학생들은 청각정보를 이용한 맥락간섭 효과에 따라 다양한 운동학습 특성을 나타낼 수 있다는 것을 보여 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uditory contextual interference on timing and stability in a golf swing. Participants were 12 college students, which were divided 4 groups which consisted of 3 subjects, which were blocked practice group, random practice group, constant practice group, and control group. At the learning phase, 1 block consisted of 24 swings, participants performed total of 144 swings, and after approximately 24 hours they went through retention test and transfer test. The participants were instructed to perform back swing start-back swing finish (forward swing start)-impact-follow throw by auditory information. Experimenter gave 4 beeps auditory information to 3 groups which were blocked practice group, random practice group, and constant practice group.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at the aquisition phase the blocked practice effectively improved relative timing, and stability compared to the other three groups. Second, at the retention and the transfer phase it was found that the random practice in high contextual interference effect had a good effect on relative timing and motion stability learning. The present result indicated that as contextual interference was higher, the effect of motor learning was positive. Third, the control group which was given no auditory information represented the lowest improvements in relative timing, and motion stability learning compared to the other three groups. In conclusion, even though the short period of practice time, the present results show various motor learning characteristics when the college students with golf swing experience of novice are given different auditory information based on contextual interference effect.

저자
  • 한동욱(서울대학교) | Dong Wook Han 교신저자
  • 김선진(서울대학교) | Seon Jin Ki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