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연습량과 연습시기간 시간간격에 따른 양팔협응 학습의 기억공고화 효과 KCI 등재

The Effects of Spacing Practice Session on Memory Consolidation during the Acquisition of a Bimanual Coordination Task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59350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Korean Society of Sport Psychology (KJSP))
한국스포츠심리학회 (Korean Society Of Sport Psychology)
초록

본 연구는 연습단계에서의 연습량과 연습시기간 시간간격의 배분이 새로운 양팔 협응패턴의 수행과 학습, 그리고 획득된 운동기억의 공고화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실험1에서는 하루의 연습기간 동안 집단별로 각각 27시행, 36시행, 45시행을 총 4일 동안 연습하게 하여 주어진 연습량에 따른 학습의 효과를 검증하였다. 실험1의 결과 서로 다른 연습량에도 불구하고 모든 집단에서 비슷한 정도의 학습과 전이효과를 보여주었다. 그리고, 실험2에서는 집단별로 연습시기간 시간간격을 5분, 1시간, 4시간, 24시간을 갖고 연습하게 하여 연습시기 사이의 상대적 시간길이에 따른 학습효과를 살펴보았다. 실험2의 결과 연습수행 국면에서는 집단별로 차이가 나지 않았으나, 파지 및 전이검사에서 24시간의 시간간격을 제시받은 집단만이 높은 협응패턴의 정확성을 유지하였다. 즉, 상대적으로 긴 비활동 시기를 가진 집단이 협응패턴의 정확성과 관련하여 더 높은 학습과 전이의 효율성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결과는 연습단계에서의 연습량 그 자체는 양팔 협응과제의 수행에 있어서 동작의 정확성과 일관성의 학습 및 전이의 효율성에 큰 영향을 주는 요인이 아니며, 최소한의 연습량이라도 상대적으로 긴 시간간격을 두고 연습하는 것이 운동수행을 통해 습득된 운동기억을 기존의 정보와 통합하는 기억공고화(memory consolidation) 과정을 촉진시켜 학습효과를 증진시킨다는 것을 시사한다.

It has been suggested that the processing of a motor memory continues long after the completion of a practice repetition, a phenomenon known as memory consolidation. The present study was designed to identify the factors that influence the effectiveness of the consolidation processes, leading to a relatively stable and long-term motor learning in the production of a bimanual coordination that required 90-deg phase offset. In Experiment 1, three groups of participants (n=24) practiced the task either 3, 4, or 5 blocks of 9 trials in each block, respectively, for 4 days. A retention test was administered 24 hours (day 5) after the practice session.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groups in the accuracy and stability of bimanual coordination patterns. This finding suggests that the amount of practice per se did not influence the consolidation processes related to the learning of a bimanual coordination. In Experiment 2, the same task was practiced in 4 sessions of 4 blocks each, and the practice sessions were separated by 5 minutes, 1 hour, 4 hours, or 24 hours (1 day). The results demonstrated that 24-hour group showed more accurate and stable performance during the retention test than remaining 3 groups, while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among these groups, indicating a time-dependent modifications in the way the learning of a motor skill occurred. Taken together, consistent with the notion of memory consolidation, these findings suggest that distribution of practice over a relatively long period of time (day), rather than amount of practice, is a more important factor for the enhancement of learning in the production of a complex bimanual coordination task.

목차
국문초록
 Ⅰ. 서 론
 Ⅱ. 실험 1
  1. 연구방법
  2. 연구결과
  3. 논의
 Ⅲ. 실험 2
  1. 연구방법
  2. 연구결과
  3. 논의
 Ⅳ. 종합 논의
 참고문헌
 ABSTRACT
저자
  • 송용관(고려대학교) | Song, Yong-Gwan
  • 박진훈(고려대학교) | Park, Jin-Hoon 교신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