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볼링지도자의 리더십행동유형과 커뮤니케이션효과가 지도자선호도에 미치는 영향 KCI 등재

The Effect on Preference by Bowling Coach’s Leadership Types and Communication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59425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Korean Society of Sport Psychology (KJSP))
한국스포츠심리학회 (Korean Society Of Sport Psychology)
초록

본 연구는 볼링지도자의 리더십행동유형과 커뮤니케이션효과가 지도자선호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었다. 자료 수집은 볼링선수들로부터 수집되었으며, 최종분석에는 234부가 사용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DOW Ver 12.0을 통해 t-test,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하였으며, 집단 간의 차이를 검증하기 위해 Scheffe 사후검증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지도자의 리더십행동유형과 커뮤니케이션효과가 지도자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력 분석을 위해 다중회기분석이 실시되었다. 이러한 연구방법을 통해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별에 따른 리더십요인 분석은 남자가 스스로 연습방법과 의사를 결정 할 수 있는 민주성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소속에 따른 리더십요인 분석은 대학부는 훈련지도성요인과 민주성요인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고등부는 배려성과 긍정적 보상성을 더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경력에 따른 리더십요인 분석은 2년 미만의 경력을 가진 그룹이 긍정적보상성 리더십요인을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권위적인 지도행동을 가장 선호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리더십요인이 선수의 커뮤니케이션효과와 지도자선호도에 미치는 영향은 훈련지도성요인이 높을수록 선수의 커뮤니케이션효과와 지도자선호도가 높아지고, 권위성요인이 높을수록 선수의 커뮤니케이션효과와 지도자선호도는 낮아진다. 그리고 선수와 지도자의 커뮤니케이션효과가 많을수록 지도자선호도도 높아졌다. 이상의 결과는 리더십 행동유형, 커뮤니케이션효과, 지도자선호도에 대한 선행연구와 실증적 연구를 바탕으로 논의 하였다.

This paper presents research on a psychological training program, which in combination with a physical training regimen, seeks to enhance the performance of professional tennis athletes. The psychological training program detailed and analyzed here includes image training, self encouragement, goal setting, and other diverse methods. After constructing a training program consistent with Vealey (2007), one male high school junior was selected as the research subject and was subsequently subjected to 9 trials of the program over a course of 4 months. The effectiveness of the training program was gauged by comparing the subject’s pre-training baseline with measures taken throughout the training program period. The measurements were bot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in nature, including multiple interviews, questionnaire (psychological skill questionnaire in sport), as well as in-game observations. Research results demonstrate that a number of the psychological training methods significantly increased 2 ~ 3 of the subject’s psychological skills. Questionnaire revealed subject’s enhancement in almost all psychological factors measured. Furthermore, in-depth interviews revealed that the program had a significant benefit with respect to treating anxiety and lack of confidence/goal setting as expressed in the baseline measurements. In particular, the subject’s service double faults were reduced dramatically and match win/loss record was also significantly influenced.

목차
국문초록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1. 연구대상
  2. 측정도구의 내용
  3. 측정도구의 타당도와 신뢰도
  4. 자료처리
 Ⅲ. 연구결과
  1. 일반적 변인별 리더십요인의 비교결과
  2. 리더십요인이 커뮤니케이션효과와 지도자선호도에 미치는 영향
 Ⅳ. 논 의
 Ⅴ. 결론 및 제언
  1. 결론
  2.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저자
  • 김명조(경희대학교) | Kim, Myoung-Jo
  • 임세준(경희대학교) | Lim, Se-Jun 교신저자
  • 전병관(경희대학교) | Chun, Byung-Kwya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