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활동관찰, 운동심상, 그리고 거울을 활용한 시각적 착시가 운동피질 활성화에 미치는 영향 KCI 등재

The Influence of Motor Cortical Excitability on Visual Illusion Using Mirror, Motor Imagery and Action Observation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59435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Korean Society of Sport Psychology (KJSP))
한국스포츠심리학회 (Korean Society Of Sport Psychology)
초록

본 연구는 정상 성인과 만성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하여 활동관찰, 운동심상, 그리고 거울을 활용한 시각적 착시가 운동피질 활성화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신경생리적 측면에서 검증하고자 하였다. 피험자는 정상 성인 10명, 만성 뇌졸중 환자 10명, 총 20명이 참여하여, 다섯 가지의 실험 조건(통제조건, 비활동조건, 활동조건, 심상조건, 거울조건)에서 오른손 엄지와 검지를 메트로놈 1 Hz 신호에 따라 반복적으로 움직이는 과제를 수행하였다. 실험 도구는 경두개자기자극기, 자극 코일, 근전도 시스템, 거울 등이 사용되었다. 실험 결과, 정상 성인과 뇌졸중 환자 모두 거울조건에서 운동유발전위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두 집단 간에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상 성인의 경우에는 심상조건, 활동조건, 비활동조건 순으로 운동유발전위가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뇌졸중 환자의 경우 심상조건과 활동조건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비활동조건에서 가장 낮은 운동유발전위가 발생하였다.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action observation, motor imagery and visual illusion using mirror on motor cortical excitability in chronic stroke patients and healthy adults. Ten chronic stroke patients and ten healthy adults were participated in this experiment. Motor evoked potentials (MEP) were obtained from the inactive first dorsal interosseous in each of five task conditions: control (viewing a block positioned between hands), inactive (viewing the inactive hand), active (viewing the active hand), imagery (viewing the inactive hand while mentally image hand movement), mirror condition (viewing a mirror-reflection of the active hand in a mirror oriented). For this experiment, transcranial magnetic stimulation (TMS), stimulation coil, EMG, Ag/AgCI suface electrode, and mirror were used. The research had the following results. Largest MEP was obtained in the mirror condition both stroke patient and healthy adult group and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groups. Stroke patients group was no significantly difference between imagery condition and active condition and MEP during inactive condition tended to be lower than other conditions. The current finding provides neurophysiological evidence supporting the application of mirror therapy in stroke rehabilitation.

목차
국문초록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1. 연구대상
  2. 실험 도구
  3. 실험 과제
  4. 실험 절차
  5. 자료분석 및 통계처리
 Ⅲ. 연구 결과
 Ⅳ. 논 의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저자
  • 박승하(이화여자대학교) | Park, Seung-Ha
  • 이승민(중앙대학교) | Lee, Seung-Min
  • 김상범(중앙대학교) | Kim, Sang-Bum 교신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