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체육수업 정서경험척도 개발 및 타당화 KCI 등재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Emotion Experience Scale in Physical Education Clas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59458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Korean Society of Sport Psychology (KJSP))
한국스포츠심리학회 (Korean Society Of Sport Psychology)
초록

본 연구는 인지평가이론을 토대로 체육수업에서 경험하는 정서경험 척도를 개발하고 타당화 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요인선정 및 문항개발단계, 문항수정단계, 신뢰도와 타당도 검증단계의 3단계로 진행되었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은 기술통계, 상관관계, 신뢰도 검증, 탐색적 요인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잠재평균분석 등이 실시되었다. 그 결과 요인선정 단계에서 체육수업 정서경험척도를 개발하기 위해 자부심, 안도감, 두려움, 희망, 죄책감, 동정, 감사, 부러움, 슬픔, 분노, 행복, 수치심의 12개의 개별정서를 선정하였고, 80명의 중학생에게 개방형 설문지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여 최초의 문항풀(item pool)을 173문항으로 제작하였다. 문항수정단계에서 2번의 문항수정이 이루어 졌고, 최종 57문항이 선정되었다. 신뢰도 및 타당도 검증단계에서 각 요인별 내적일관성 계수인 크롬바 알파는 모두 .83 이상이었고, 검사-재검사 신뢰도는 행복 .76 희망 .64 자부심 .74 분노 .57 불안 .62 슬픔 .58 수치심 .57 부러움 .54 죄책감 .58 안도 .51 동정 .73 감사 .78로 나타났다.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체육수업정서경험 척도의 적합도를 검증한 결과 CFI는 .90이상, RMSEA는 .05 이하로 나타나, 12요인 모델을 지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잠재평균분석 결과 남자가 여자에 비해 희망, 자부심, 동정, 감사에서 더 높은 값을 나타내었고, 고등학생이 중학생에 비해 분노, 슬픔, 부러움, 죄책감, 동정, 감사에서 유의하게 높은 평균값을 나타내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Emotion Experience scale in physical education class on based on cognitive evaluation theory. To accomplish this purpose, the study set up three steps of selecting factors and developing items, modifying of items, testing reliability and validity. The statistical techniques of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latent mean analysis using by SPSS/PC+ 12.0 and AMOS 18.0 program were used. As the results, in step of selecting factors 12 factors of pride, relief, fear, hope, guilt, pity, gratitude, envy, sorrow, anger, happy, shame was selected, surveying 80 middle school students initial 173 items was made. In step modifying items, 2 modifications of items was performed, final 57 items were made. In step of testing reliability and validity, the values of Cronbach`s Alpha were over .83, test-retest reliability of each factor illustrated that happy was .764, hope .643, pride .740, anger .568, fear .616, sorrow .577, shame .565, envy .542, guilt .583, relief .505, pity .731, gratitude .783. In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the results analyzing goodness of fit for the scale illustrated that value of GFI was above .90, value of RMSEA is below .05. In latent mean analysis, male showed significantly more higher mean values than female in hope, pride, pity, gratitude and high school students showed significantly more higher mean values than middle school students in anger, sorrow, envy, guilt, pity, gratitude.

목차
국문초록
 I.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Ⅱ. 연구방법
  1. 조사대상
  2. 문항 개발 절차
  3. 자료처리
 Ⅲ. 연구결과
  1. 탐색적 요인분석과 기초통계치
  2. 신뢰도
  3. 교차타당도
 Ⅳ. 논 의
  1. 척도개발의 신뢰도와 타당도
  2. 정서 경험의 성별 차이 분석
  3. 정서 경험의 학교 급별 차이 분석
 참고문헌
 ABSTRACT
저자
  • 김동환(고려대학교) | Kim Dong-Hwan
  • 이병준(고려대학교) | Lee Byung-Jun 교신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