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Surveillance of sporadic & subtropical insect pests in Chuncheong & Jeju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64207
모든 회원에게 무료로 제공됩니다.
한국응용곤충학회 (Korean Society Of Applied Entomology)
초록

돌발해충인 갈색날개매미충, 미국선녀벌레, 꽃매미, 갈색여치, 먹노린재, 목화진딧물과 남방계해충인 애멸구, 배추좀나방, 볼록총채벌레, 담배거세미나방, 풀색노린재를 대상으로 충청과 제주지역에서 발생실태를 조사한 결과, 농경지내 갈색여치, 목화진딧물은 화학약제의 사용으로 관찰이 쉽지 않았고 풀색노린재는 생태습성성상 관찰이 쉽지않아 이들 해충을 제외하고 발생실태를 조사하였다. 갈색날 개매미충은 충청지역의 경우 2017년까지는 집중분포 양상을 보이다 2018년 알조사에서부터는 임의분포를 보이기 시작하였고, 미국선녀벌레는 경기와 충북 지역과 인접한 곳에서 집중분포를 보였다. 제주지역의 경우 2017년 제주시 한림읍 협재리 인근에서 최초 발생하였다. 먹노린재는 2018년 최대발생양상을 보였고, 충남 서천, 청양, 홍성, 태안을 중심으로 대발생 양상을 보였다. 애멸구는 충남 공주와 서천에서 밀도가 높았다. 갈색날개매미충과 미국선녀벌레의 발생밀도는 낮게 조사되었으나 발생면적은 증가하였다. 볼록총채벌레는 충청지역 감나무에서 발견되었고 제주지역 감귤에서는 발견되지 않았으나 녹차밭에서는 발생량이 높았다. 추후 돌발 및 남방계 해충에 대한 위해성 평가를 통하여 발생가능성 정보를 제공할 계획이다.

저자
  • Deog-Kee Park(Bioenviron mental division, Chungcheongnamdo Agricultural research Extension Services, Korea Republic)
  • In-Su Hwang(Bioenviron mental division, Chungcheongnamdo Agricultural research Extension Services, Korea Republic)
  • Hwa-Young Seo(Bioenviron mental division, Chungcheongnamdo Agricultural research Extension Services, Korea Republic)
  • Yong-Seok Choi(Bioenviron mental division, Chungcheongnamdo Agricultural research Extension Services, Korea Republi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