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캡스톤디자인 교육과정에 관한 연구 - 3D프린팅 제품디자인을 적용하여- KCI 등재

A Study on the Curriculum of Capstone Design - 3D Printing Product Design Application -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65043
  • DOIhttps://doi.org/10.18555/kicpd.2018.55.22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상품문화디자인학연구 (Journal of Cultural Product & Design)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 (Korean Institute of Cultural Product Art & Design)
초록

최근 제4차 산업혁명이 지향하는 대학교육의 새로운 국면은 실무능력을 중요시하는 것이다. 대학은 불가피하게 지식정보화 직업능력과 자질요건을 갖추기 위한 직업인의 소양교육을 실행하고 평가받을 수 밖에 없다. 이런 측면에서 대학이 학문을 지향하는 교육이거나 아니면 현실지향적 교육을 지향하거나 교육적 합의는 중요하지 않다. 대학교육은 취업능력 향상을 위한 일자리 창출에 관심을 갖고 현실사회의 실무능력 교육문제 해결에 책임이 것이 사실이다1).
이런 측면에서 최근들어 현장 실무능력 부족, 문제해결능력 부족, 창의성 부족을 해결하는 대학의 교육방식에 중요해졌다. 본 연구는 디자인교육의 실무능력 향상, 산업 변화에 부응하는 현장중심 교육 방식의 하나인 캡스톤디자인 교수과정에 관심을 갖고 진행하게 되었다. 현재 대부분의 대학에서 공학, 인문, 사회, 예체능분야까지 확대하여 캡스톤디자인 강좌가 시행되고 있다. 그러나 캡스톤디자인 교육이 해외를 중심으로 시작되면서 캡스톤디자인 교육의 핵심개념과 역량 교육을 대학교육에 바로 적용하는데 한계가 있어 왔다. 해외사례를 보면 전학년, 다학제간으로 팀을 구성하여 산업체의 실제문제를 해결하고자 산업체의 자본과 인력을 지원받아 실습·설계·Prototype 역량을 배양하는 프로세스를 통해 공학적 핵심 역량을 키우는데 주안점을 두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한계점을 해결하고자 3D프린팅 과정을 적용하여 저학년 교과목에서 습득한 전문지식을 바탕으로 산업체가 필요로 하는 과제를 학생들이 팀을 구성하여 해결하도록 하였다. 또한 실무능력을 위한 창의성과 리더십을 경험하는 프로세스를 거쳐 제품디자인에 적합한 캡스톤디자인 수업모형을 적용하여 교육의 효율성을 검토하고자 하였다. 캡스톤 디자인 교과목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목표설정, 수업모형 구성, 수업모형 적용, 검증 및 평가, 최종수업모형 개발절차로 진행하였다. 이를 통해 디자인계열 캡스톤디자인을 교육하는 기초자료로 활용할 것이다.

A new aspect of college education, which is currently pursued by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s the importance of practical ability. Universities will inevitably have to implement and evaluate education for vocational ability and qualification of knowledge-based information services. College is education oriented or education oriented or educational consensus is not important. It is important that the university education is focused on creating the first place for job improvement and is responsible for solving practical skills education problems in the real world.
In this regard, there has been a consensus recently on the university's approach to education to address lack of field skills, problem solving skills, and creativity. In this study, we have developed an interest in Capstone Design teaching method, which is one of the methods of field-based training in response to the development of design education and industrial change. Currently, Capstone Design courses are being conducted at most universities, expanding to include engineering, humanities, social studies and artistic fields. However, as Capstone Design Education begins overseas, the core concept and competence education of Capstone Design has been limited in applying it directly to university education. According to the case of overseas companies, the team is composed of former and multi-students to solve the real problems of the industry. It is increasing its major engineering capabilities through a process to develop practical, design, and prototype capabilities by receiving capital and manpower from industries when operating Capstone Design curriculum. It was necessary to compare the case of overseas universities with the domestic Capstone Design operation system and use it as a basic material for developing core design capabilities.
To address these limitations in this study, the 3D printing process was applied so that students could team up and solve the tasks that businesses need based on expertise acquired in lower grades subjects. Also, through the process of experiencing creativity and leadership for practical skills, we applied Capstone Design class model suitable for product design to examine the effectiveness of education. 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ives of Capstone Design's curriculum, the school model was set up, organized, applied with a class model, verified and assessed, and developed the final class model. Through this process, it will be used as a basic material for training Capstone Design of Design.

목차
Abstract
 국문요약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결과 도출
 4. 검증 및 평가
 5.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저자
  • 손상희(인덕대학교 디지털산업디자인학과) | Shon Sang H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