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정서 정보가 생물형운동자극의 시지각 및 작업기억에 미치는 영향 KCI 등재

Effects of Emotional Information on Visual Perception and Working Memory in Biological Motion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66232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600원
감성과학 (Korean Journal of the science of Emotion & sensibility)
한국감성과학회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 Sensibility)
초록

기존의 사회인지와 정서 연구들은 주로 얼굴자극을 이용하여 초기지각단계 및 후기인지과정에의 정서 효과를 조사해 왔다. 그러나, 정서의 효과가 정보처리과정의 각 단계에서 어떤 양상으로 나타나는지와, 정서유형에 따른 효과 양상의 변화 여부는 불확실하다. 본 연구에서는 얼굴 대신 생물형운동자극을 이용해 자극에 내포된 행복, 분노, 중립정서가 지각과제와 작업기억과제 수행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참가자는 연달아(지각과제) 또는 시간차를 두고(작업기억 과제) 제시되는 두 생물형운동의 동일 여부를 판단하였다. 지각과제에서는 정서가를 가진 자극 시행의 정확도가 중립정 서자극에 비해 낮아 정서정보가 초기지각처리에는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였으나, 작업기억과제에서의 기억정보유지에는 도움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각 과제에서 정서유형에 따라 다른 수행 양상이 관찰되었다. 분노정서는 지각단계에서 더 많은 정신적 자원을 요구하여 부하가 증가할 경우 정확도가 낮아지지만 기억유지에는 긍정적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보이며. 행복정서의 경우 중립정서가 이어서 제시될 때 이를 행복정서와 유사하게 처리하려는 편향을 유도하는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는 생물형운동자극을 이용하여 정보처리과정에서의 정서 영향을 재확인하였고, 처리 단계별 및 정서 종류별로 다른 양상의 영향이 나타난다는 점을 추가로 밝혀, 정서정보의 정교한 조작 및 통제를 위한 유용한 단서를 제공한다.

The appropriate interpretation of social cues is a crucial ability for everyday life. While processing socially relevant information, beyond the low-level physical features of the stimuli to emotional information is known to influence human cognition in various stages, from early perception to later high-level cognition, such as working memory (WM). However, it remains unclear how the influence of each type of emotional information on cognitive processes changes in response to what has occurred in the processing stage. Past studies have largely adopted face stimuli to address this type of research question, but we used a unique class of socially relevant motion stimuli, called biological motion (BM), which depicts various human actions and emotions with moving dots to exhibit the effects of anger, happiness, and neutral emotion on task performance in perceptual and working memory. In this study, participants determined whether two BM stimuli, sequentially presented with a delay between them (WM task) or one immediately after the other (perceptual task), were identical. The perceptual task showed that discrimination accuracies for emotional stimuli (i.e., angry and happy) were lower than those for neutral stimuli, implying that emotional information has a negative impact on early perceptual processes. Alternatively, the results of the WM task showed that the accuracy drop as the interstimulus interval increased was actually lower in emotional BM conditions than in the neutral condition, which suggests that emotional information benefited maintenance. Moreover, anger and happiness had distinct impacts on the performance of perception and WM. Our findings have significance as we provide evidence for the interaction of type of emotion and information-processing stage.

목차
Abstract
 요 약
 1. 서론
 2. 연구 방법
  2.1. 실험 참가자
  2.2. 실험 자극
  2.3. 실험 과제
  2.4. 분석 방법
 3. 연구 결과
  3.1. 과제 및 정서 유형에 따른 정확도와 반응시간
  3.2. 적중시행에서의 과제 및 정서 효과
  3.3. 정기각 시행에서의 과제 및 정서효과(1):분노정서조건 대 행복정서조건 비교
  3.4. 정기각 시행에서의 과제 및 정서효과(2):중립자극조건 대 정서자극조건 비교
  3.5. 정기각 시행에서의 과제 및 정서효과(3):정서자극조건 대 중립자극조건 비교
  3.6. 정서자극별 반응확신과 정,오반응의 관계
 4. 논의
  4.1. 시각재인과 작업기억에서 정서의 영향
  4.2. 정서별 지각 및 인지처리의 차이
  4.3. 요약 및 결론
 REFERENCES
저자
  • 이한나(덕성여자대학교 심리학과) | Hannah Lee (Department of Psychology, Duksung Women’s University)
  • 김제중(덕성여자대학교 심리학과) | Jejoong Kim (Department of Psychology, Duksung Women’s University) 교신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