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Evaluation on the water supply stability of nakdong river basin based on future scenarios KCI 등재

미래 시나리오 기반 낙동강 유역의 용수공급 안정성 평가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67334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수자원학회 논문집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한국수자원학회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초록

최근 국내에서는 기후변화가 용수공급에 미치는 영향을 정량적으로 평가한 사례가 많지 않으며 이와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미래의 안정적인 용수공급을 위해 미래 다양한 상황에 대한 분석을 통한 수자원 계획이 절실하다. 본 연구에서는 낙동강 유역을 대상으로 미래 다양한 상황을 시나리오로 구성하고 각 시나리오 경로에 대한 물 수급 전망을 통해 용수공급의 안정성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를 통해 용수공급의 어려움을 겪을 것으로 예상되는 물 공급 취약지역을 선정하여 제시하였으며 지역별, 용도별 물 부족 시나리오를 전망하였다. 또한 용수공급시설물의 최적연계 운영을 통해 용수공급 능력 증대 효과도 분석하여 제시하였다. 향후 낙동강 유역에는 기후변화 등으로 인해 용수공급의 어려움이 예상됨에 따라 이를 완화 또는 해소하기 위해서 보다 다양한 대책 마련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In Korea, there are only a few cases that quantitative evaluate the impacts of climate change on water supply. Therefore, to ensure stable water supply in the future, a water resources plan is needed to establish by analyzing the scenarios that take into consideration the various situations in the future.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changes of various situations for the Nakdong River basin, and constructed it for the future scenario. The stability of the water supply was analyzed through the analysis of water supply and demand prospect for each scenario path. We selected the areas expected to experience difficulty in supplying water supply and analyzed the scenarios of future water shortage by region and water sector. Also, the effect of increasing water supply capacity through optimal integrated operation of water supply facilities was analyzed and presented. Analysis of the results shows that there is a difficulty in supplying water due to future climate change experienced in the Nakdong River basi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prepare various countermeasures in order to mitigate or solve this problem.

목차
Abstract
 요 지
 1. 서 론
 2. 연구 지역 및 자료
 3. 연구 방법 및 적용
  3.1 미래 시나리오 경로 구성 및 물 수급 전망
  3.2 용수공급시설물 최적연계 운영체계 및 신뢰도 평가
 4. 결과 및 토의
  4.1 용수공급시설물의 신뢰도 평가
  4.2 미래 지역별, 용도별 물 부족 시나리오 전망
  4.3 미래 물 공급 취약지역 선정 및 물 부족 시나리오전망
  4.4 최적연계 운영체계 효과 분석
  4.5 낙동강 유역 물 부족 시나리오 전망
 5. 결 론
 감사의 글
 References
저자
  • Choi Si Jung(Department of Land, Water and Environment Research, Korea Institute of Civil Engineering and Building Technology,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국토보전연구본부) | 최시중
  • Kang Seong K(Department of Land, Water and Environment Research, Korea Institute of Civil Engineering and Building Technology,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국토보전연구본부) | 강성규 Corresponding Author
  • Lee Dong-Ryul(Department of Land, Water and Environment Research, Korea Institute of Civil Engineering and Building Technology,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국토보전연구본부) | 이동률
  • Kang Shin-Uk(Strategic Research Group for Korea Water Grid, K-water Institute, K-water융합연구원 KWG 연구단) | 강신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