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주요 외국의 산업안전보건 관리체계 고찰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68421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대한안전경영과학회 (Korea Safety Management & Science)
초록

우리나라의 산업안전 ·보건 수준은 '81년 산업안전보건법이 제정됨으로써 획기적으로 발전하여, 80년대부터 산업재해 발생율이 감소추세를 보여왔다. 정부정책 측면에서 보면, '80년 이전까지는 주로 사후 보상문제에 치중하였고 산업안전보건법이 제정된 이후부터 본격적인 재해예방 정책이 수립 ·추진되기 시작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변화 속에서 사업장 안전 ·보건관리 체계는 규제완화에 따른 안전보건관리체계 약화, 안전보건관리체계의 중복, 법집행의 실효성 미약, 공공-민간의 효율적인 역할 수행체계 미흡, 근로자의 참여부족 등 많은 문제점들을 안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미국, 영국, 독일, 일본 등 우리보다 앞서있는 선진국의 산업안전보건체계를 재해통계제도, 안전보건 관련법, 재해예방기관의 활동 등의 측면에서 살펴보고 우리나라의 관리체계와 비교하여 개선 및 발전 방향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목차
Abstract
 1. 서론
 2. 각국의 산업재해 통계제도 비교
 3. 재해예방의 법적 체계
  3.1 각국의 산업안전보건 관련법의 발전과정
  3.2 산업안전보건 법규 체계
 4. 우리나라 사업장 안전ㆍ보건관리 체제의 문제점
  4.1 규제완화에 따른 안전보건관리체제 약화
  4.2 사업장 안전ㆍ보건관리체제 중복
  4.3 법집행의 실효성 미약
  4.4 공공-민간의 효율적인 역할 수행체계 미흡
  4.5 사업장 안전ㆍ보건활동애 대한 근로자 참여부족
 5. 결론
 6. 참고문헌
저자
  • 양성환
  • 최정화
  • 갈원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