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전통의 일상적⋅학문적 의미와 가치의 변화에 대한 고찰 KCI 등재

A Study on the Daily and Academic Meanings of Tradition and the Change of Value of Tradition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69783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6,100원
동방문화와 사상 (East Asian Culture and Thought)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동양학연구소 (Institute of Oriental Studies)
초록

본 연구는 정체성의 위기에 봉착해 있는 현 시대에, 과연 우리의 전통사상 및 전통교육이 어떤 역할을 할 수 있을지에 대한 당연한 문제제기의 일환이자 그에 대한 대응의 노력이다.
최근 10-20년 사이 현대 한국사회에서의 전통적 가치를 확인하는 작업들을 주제에 따라 다음과 같이 몇 가지 유형으로 분류해 볼 수 있다. 첫째, 사고방식에 주목한 연구, 둘째, 오늘날 한국인인 지닌 가치들의 지형도를 그리고자 했던 연구, 셋째, 구체적인 가치⋅덕목을 중심으로 하되 중시하고 있는 것(Is) 이 아니라 중시해야할 것(Ought)을 분석한 연구, 넷째, 전통적 가치와 시민사회와의 관계에 관한 연구 등이 있다. 이처럼 전통적 가치에 관한 다양한 논의 들은 확산의 측면에서 긍정적으로 볼 수 있지만, 반면 일정 부분 경계해야 할 부분들도 있다.
‘현재적 의미로서의 전통’은 전래된 것으로서의 전통에서 현재적 의미를 추출하는 것이라기보다는, 역으로 현재적 의미가 어떠한 전통적 사유와 맞닿아 있는가를 논의하는 것에 가깝다. 즉, 과거가 현재와 미래에도 여전히 유효하다는 입장이 아니라, 현재와 미래에 유효한 것들이 과거의 전통으로부터 연원 한다는 점을 논의하는 것이다. 따라서 전통과 전통교육에 대한 인식 정도를 파악하기 위해 어린이와 청소년, 성인세대를 대상으로 한 실태조사는 이러한 접근에 시사하는 바가 매우 크다.
전통(傳統)이란 이전 세대로부터 전해져 내려온 것으로 현재의 생활문화가 유지되고 발전하는데 있어서 긍정적인 역할을 할 수 있는 양식과 태도 등을 의미한다. 전통문화의 전수와 계승은 우리 민족문화의 발전과 함께하며 영구히 이어지고 지속되는 역사적 실체로며, 진정한 전통문화의 계승은 우리 역사를 긍정적으로 보는 안목부터 키워나가는데 있다고 할 수 있다.

This study is an effort to respond to the question of what kind of role our traditional ideas and traditional education can play in the present age when the identity crisis is in crisis.
In recent 10-20 years, the tasks that identify traditional values in modern Korean society can be divided into several types according to the themes. First, research focused on the way of thinking; second, research that sought to figure out the topography of the values of Koreans today; and third, research focused on specific values and virtues as in the above study, but analyzed what should be emphasized, not what we are currently focusing on; and fourth, research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raditional values and civil society. It is positive that various discussions on traditional values are spreading like this, but there are some parts to be warned.
'Tradition as a present meaning' is not a matter of extracting the present meaning from the tradition which has been introduced, but conversely it is close to discussing what the current meaning is in relation to the traditional reason. In other words, it is not a position that the past is still valid now and in the future, but that what is valid for the present and the future is derived from the past tradition. Therefore, in order to understand the perception of tradition and traditional education, the survey of children, adolescents and adult generations is very suggestive of this approach.
Tradition refers to cultural forms and attitudes that can be transmitted from previous generations and play a positive role in maintaining and developing the present culture. The inheritance and succession of traditional culture is a historical reality which is permanently connected with the development of national culture, and it can be said that the true inheritance of traditional culture is from the perspective of seeing our history positively.

목차
논문 초록
 Ⅰ. 서 론
 Ⅱ. 전통의 일상적⋅학문적 의미
 Ⅲ. 전통적 가치의 연원과 변화
 Ⅳ. 현재적 의미로서의 전통적 가치의 위상
 Ⅴ. 결 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
  • 지준호(서울교육대학교 윤리교육과) | Chi Chun-Ho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