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최한기의 기학과 사상적 지향 KCI 등재

Choe Hangi’s Kihak and Its Philosophical Foundation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69906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7,000원
동방문화와 사상 (East Asian Culture and Thought)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동양학연구소 (Institute of Oriental Studies)
초록

최한기 철학의 특징은 기의 활동운화로 세계와 인간 및 사회를 인식하는 데 있다. ‘신기’ 개념을 중심으로 한 우주론과 인식론이 『기측체의』에서 이미 체계화되었고, 『기학』에 이르러서는 ‘운화’로 집약되었다. 기학은 기존 학문에 대해 두 가지 상반된 입장을 취한다. 하나는 역대 학문의 발전과정으로 심학과 리학을 인정하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실학문을 준거로 전대 학문의 허실을 비판하는 것이다. 윤리강상 같은 도덕적, 보편적 가치를 계승하고, 경험과 지식의 축적으로 역사가 발전한다는 사고가 여기에 밑받침하고 있다. 역사의 발전이란 곧 인식의 확장과 학문의 발달을 의미한다. 기학의 한 축은 서양 근대 과학이다. 그러나 기륜과 섭동, 심 중심의 인체관은 서양 우주론과 의학적 성과를 기학의 관점에서 독해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이러한 변용은 기계론적 세계관에 구별되는 최한기 철학의 특성이다. 세계가 운화기의 활동양상이라는 점에서 문명 간의 차이는 자연스러운 것이고, 소통을 통해 상생하는 대동의 세계야말로 그가 구상한 새로운 세계의 모습이었다.

One of the characteristics of Choe Hangi’s philosophy is that it realizes both Ki(氣)’s Hwaldongwunhwa(活動運化) and human society. He systemizes his cosmology and epistemology on the basis on ‘Sinki’(神氣) in Gicheukcheui, and later integrates them into ‘Wunhwa’(運化) in Kihak. Kihak assumes two directly-opposed stances toward the existing learning. One stance is to approve the study of Li and Xin(心學, 理學) as a developmental process of learning; the other is to criticize the weakness and strength of the existing learning on the basis of Silhak. The idea underlying this is that history develops along with the succession to moral and universal virtues like the three bonds and the five moral rules, and along with the accumulation of experience and knowledge. The development of history is nothing but the expansion of perception and learning. One part of Kihak is modern Western science. However, as its perspective of the body based on the mind shows, it considers the outcome of Western medicine from the standpoint of Kihak. This is different from the standpoint of the modern Western mechanical view of the world. The difference between civilizations is just natural to it in that the world is only active appearance of Ki. As a result, optimistic about the exchange with the West, it could conceive a new cosmopolitan world.

목차
논문 초록
 Ⅰ. 경계인적 지식인
 Ⅱ. 기존 학문 비판과 실학 지향
 Ⅲ. 근대 자연과학과 기학
 Ⅳ. 역사와 문명의 진보
 Ⅴ.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
  • 이행훈(한림대학교 한림과학원) | Lee Haeng-ho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