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Reduction of Radiation Dose for Injection of Radioisotope using Shielding Device KCI 등재

방사성동위원소 투여 시 차폐기구를 이용한 방사선 피폭 저감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70609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Radiology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한국방사선학회 (The Korea Society of Radiology)
초록

현대의학에서 핵의학 검사는 암의 진단에 많이 이용된다. 방사선 작업종사자가 개봉 방사성동위원소를 사용할 때 방사선 피폭에 노출된다. 환자에게 방사성동위원소를 투여할 때 방사선 작업종사자가 받는 피폭 선량을 감소시키는 방법을 연구하였다. 납 차폐소재를 이용하여 연당량 0.2 mmPb, 300 mm × 500 mm × 15 0 mm 크기로 차폐기구를 제작하였다. 차폐기구의 사용 유무, 실린더를 차폐기구와 함께 사용하였을 때 3가지 실험방법으로 갑상선, 가슴, 생식선의 흡수선량을 나노닷으로 측정하였다. 생식선 위치에서 0.908 mG y가 측정되었고, 실린더와 제작한 차폐기구를 함께 사용하였을 때 20.8% 감소한 0.719 mGy로 가장 큰 피폭 저감이 나타났다. 방사선 작업종사자가 받는 1년 예상 유효선량은 1.223 mSv로 가슴부위가 가장 높았으며 실린더와 차폐기구를 함께 사용하였을 때 0.994 mSv로 감소하였다. 방사성동위원소를 환자에게 투여할 때 제작된 차폐기구만을 사용하여도 방사선 작업종사자의 피폭을 감소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Nuclear medicine have often used to diagnose cancers. The main absorbed dose from radiation to a radiation worker resulted from open radioisotopes. Methods for reducing the radiation dose to a radiation worker from radioisotopes injected to patients were studied. The shield device of 0.2 mmPb was manufactured as a size of 300 mm × 500 mm × 150 mm. By using dosimeters of Nanodot, the absorbed doses for thyroid, chest and genital organ were measured with and without a shielding device and with syringe shield and shielding device together. The highest absorbed dose of 0.908 mGy reduction of 20.8% as 0.719 mGy was in the genital organ by using the syringe shield and a shielding device together. A effective dose for a radiation worker during 1 year was expected to 1.223 mSv at the chest, which was decrease as 0.994 mSv by shielding device and syringe shield together. When open radioisotope is injected to a patient for examination, the only use of a shielding device results in the reduction of radiation dose to radiation workers.

목차
ABSTRACT
 Ⅰ. INTRODUCTION
 Ⅱ. MATERIAL AND METHODS
  1. 실험 기기
  2. 실험 방법
 Ⅲ. RESULT
  1. 흡수선량 측정
  2. 1년 유효선량 변환
 Ⅳ. DISCUSSION
 Ⅴ. CONCLUSION
 Reference
저자
  • Jong-Nam Lim(대구가톨릭대학교 일반대학원 방사선학과) | 임종남
  • Hyung-Tae Kim(대구가톨릭대학교 일반대학원 방사선학과) | 김형태
  • Kwon Su Chon(대구가톨릭대학교 일반대학원 방사선학과/대구가톨릭대학교 방사선학과) | 천권수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