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대구 ․ 경북 청동기시대 무덤의 전개를 통해 본 지역사회의 변화 KCI 등재

Community Changes according to the Development of Tombs in Daegu and Gyeongbuk during the Bronze Age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72173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8,700원
韓國靑銅器學報 (한국청동기학보)
한국청동기학회 (Society for Korean Bronze Culture)
초록

본고에서는 대구·경북지역 청동기시대 무덤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지역 내 전개과정을 검토해보고 이를 통해 청동기시대 사회의 변화상에 대해 유추해보고자 하였다.
선행작업으로 우선 통·공시적 범위를 설정할 필요성이 있으므로 무덤 내 부장유물 가운데 가장 보편화 된 적색마연호·마제석검·마제석촉에 대한 형식분류와 이들의 조합관계를 통해 일정한 시간대(청동기시대 전기 후반 / 중기 전반 / 중기 후반 / 후기)를 구성하였으며, 또한 산·수계와 같은 자연 지리적 요소와 지역 내 무덤의 분포양상을 함께 검토하여 모두 5개의 소지역권을 설정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지역 내 무덤의 구조적인 변화양상과 함께 단계별 전개과정을 통해 청동기시대 사회발전에 따른 지역사회 변화의 일면을 관찰해보고자 하였다.
검토결과, 지역 내 무덤(군)은 자연 지리적 이점을 바탕으로 시간의 흐름에 따라 군집의 규모가 점차 확대되는 가운데 내부적으로는 중심무덤과 주변무덤의 배치 및 구조에 따라 차별화 현상이 확인되고 있다. 그리고 각 속성들 중 묘역의 규모(대형→소형>중형>대형), 매장주체부의 위치(지하→지하·지상), 개석 의 형태(단차개석→다중개석), 관·곽의 축조방식(단일석재사용→석재혼용), 시상의 형태(단판석→다판·할 석), 유물의 부장(다종→일종부장, 적색마연호 : 관내 모두→관내 단벽 / 석검 : 관내 모두→관내 중앙, 관내 부장多→관외부장多)에 있어서 일정한 변화의 흐름을 확인하였다.
다만 변화의 방향이 시간성을 바탕으로한 일률적인 모습이 아니라 지역 내 사회 발전에 따라 집단(지역) 나름의 다양한 수용 및 정착과정으로 인해 각기 다른 형태로 표출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송국리 문화를 매개로 한 집단과 울산·경주·포항을 중심으로 한 검단리 문화를 경험한 집단의 지역 내 정착 과정은 이들 서로 간의 문화가 다양한 환경 및 사회적 요인을 바탕으로 한 선별적 필요성에 따라 수 용되면서 경주를 비롯한 일부 지역에서는 송국리형 묘역+검단리형 장법과 같은 형태의 결합형 구조가 등장하게 된다. 이러한 각 집단 상호간의 노력이 다양하게 유지·발전하면서 보다 점진적인 형태로 사회통합의 과정을 이루고 있다.

This study set out to conduct a total analysis of the tombs in Daegu and Gyeongbuk during the Bronze Age and review the process of their development in the region, thus figuring out the aspects of social changes during the age.
As preliminary work, the investigator recognized a need to set a diachronic and synchronic scope. The study started by classifying red burnished jars, polished stone daggers, and polished stone arrowheads because they were the most universal artifacts buried in the tombs. The study then classified the items according to form and examined their combinational relations into certain time zones (late early/early middle/late middle/late parts of Bronze Age). In addition, the study reviewed natural and geographical elements such as mountain and water systems and the distribution patterns of tombs within the region, setting a total of five small local zones to understand the structural changing patterns of tombs in the region, their development process by stage, and aspects of the community according to social development during the Bronze Age.
The reviewed results show that tombs (tomb groups) in the region gradually grew in cluster size over time based on natural and geographical advantages with a phenomenon of differentiation observed internally according to the arrangement and structure of central and surrounding tombs. There were certain flows of changes in some attributes including the tomb size (large→ small> medium> large), location of the subject buried (underground→ underground or above the ground), shape of cover stone (single→ multiple cover stones), construction method of coffins and cases (use of a single stone material→use of mixed stone materials), form of Sisang (single plate stone→ multiple-plate stone or trimmed stone), and burial of artifacts (multiple types→ single type, red burnished jars: all inside the coffin→ short walls inside the coffin/stone daggers: all inside the coffin→center of the coffin, burial inside the coffin→ burial outside the coffin).
The directions of change were not uniform based on temporality, but took various forms according to the social development of the community due to the different acceptance and settlement processes of different groups (areas). In the settlement processes of the group based on the culture of Songguk-ri and that of Geomdan-ri around Ulsan and Pohang, the different cultures were accepted according to selective needs based on a range of environmental and social factors. As a result, combinational forms such as the combination of the Songguk-ri-type tomb and Geomdan-ri-type burial method emerged in some areas including Gyeongju. As such mutual efforts among different groups were maintained and developed in various forms, their process of social integration took a more progressive form.

목차
요약
 Ⅰ. 머리말
 Ⅱ. 시·공간적 범위 설정
 Ⅲ. 무덤(군) 구조의 변화
 Ⅳ. 무덤의 전개를 통해 본 지역사회의 변화
 Ⅴ. 맺음말
 參考文獻
저자
  • 윤형규((재)삼한문화재연구원) | Yun Hyongkyu (The Samhan Institute of Cultural Propert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