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일본 주자학의 전래와 수용 KCI 등재

The Introduction and Acceptance of Japanese Neo-confucianism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72730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남명학연구 (The Nammyonghak Study)
경상대학교 경남문화연구원 (The Nammyong Studies Institute)
초록

일본 유학의 역사를 더듬어 보면 논어가 백제로부터 전래되었을 때를 기점으로 한다. 중세에는 고잔(五山) 승려에 의해 접해졌고, 근세 에도시대에 들어와서는 본격적인 수용을 거듭하게 되는데 이러한 일본의 유학에 대해 근세 유학연구의 선봉적인 역할을 한 마루야마 마사오(丸山眞男)씨는 주자학이 근세 일본의 幕藩制 유지의 사상적 이데올로기가 되었고, 주자학의 자연법적인 사상이 근세 봉건사회에 부합되었다고 했다. 그러나 마루야마씨의 주자학 이데올로기론은 여러 관점으로부터 비판이 제기되었다. 그 유력한 비판자의 한 사람인 비토 마사히데(尾藤正英)씨는 쓰다 소키치(津田左右吉)의 주자학과 근세일본사회와의 부적합성을 들어 유교가 일본사회에 지식으로 수용된 것 일뿐 생활차원에서의 수용을 인정하지 않았다. 또 와타나베 히로시(渡邊浩)씨는 에도시대(1603-1867)전기의 일본사회에 있어서 주자학을 주요한 내용으로 하는 주자학은 당시 일본 국내의 有利한 사정을 바탕으로 점차 확대되었지만 동시에 여러 측면에서 違和感을 주는 외래사상이었다고 하고 있다.
이상, 전후 한때 통설로 되어왔던 마루야마씨의 주자학의 일본 근세사회의 부합설이 현재에 이르러서는 주자학 부적응설로 일반화 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주자학의 부적응설에도 불구하고 일본 유학은 고대에서부터 중세를 거쳐 근세에 본격적인 수용을 거듭하면서 현대에까지 그 맥을 유지하고 있다. 특히 근세에는 다양한 층의 학자들에 의해 수용되어 일본적 사상으로 정착하게 되는데 이하 본 논문에서 필자는 주자학의 일본수용설의 관점에서 그 영향관계를 주자학에서 古學陽明學國學水戶學 등과 관련지어 고찰하고자 한다. 또 한국과는 어떠한 관련이 있는지에 대해서도 검토하고자한다.

Tracing the history of Japanese Confucianism, : it starts from the time when the Analects of Confucius is introduced from Pakje. Japanese Neo-confucianism, introduced by a Buddhist monk, Gozan in the medieval period, was accepted into Japan in earnest in the modern Edo period. Maruyama Masao, who played a leading part in modern studies of Japanese Confucianism, argued that Neo-confucianism became the ideology of maintaining modern Japan and the natural law's spirit of Neo-confucianism corresponded to modern feudal society. However, the ideological theory of Neo-confucianism by Maruyama has been the subject of criticism in many ways. Bito Masahithe, one of the prominent critics, declared that Confucianism is accepted not as a part of Japanese life but as knowledge for Japanese society standing in the incongruity between Neo-confucianism by Thuda Soukichi and modern Japan. Watanabe Hiroshi claimed that Neo-confucianism, mainly dealt with Japanese Neo-confucianism in the early Edo period and was gradually extended due to the advantageous situation of Japan in those days, but was the foreign idea giving a sense of incompatibility in some ways.
The alignment of modern Japan with Neo-confucianism by Maruyama, which had been an accepted theory, has been generalized as an inadequacy of Neo-confucianism up until now. However, despite this inadequate theory of Neo-confucianism, Japanese Confucianism has been accepted in earnest from the ancient period to the modern one and has been flourished up till now. Especially in modern times, it is accepted by many scholars and fixed as a Japanese thought. In this paper, I will try to look into the influence of Neo-confucianism in terms of Japanese acceptance of it in relation to an antque studies, the doctrinese of wang yangming, the national classics, mito studies etc and I will attempt to go over how it is related to Korea.

저자
  • 成海俊(東明情報大 國際觀光學科) | Sung Hae-Ju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