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이상근 합창음악 연구 - 중기와 후기 합창곡을 중심으로 - KCI 등재

A Study of Sang Guen Lee's Choir Music – focused on Middle and Late Period -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73687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8,000원
음악이론포럼 (Music Theory Forum)
연세대학교 음악연구소 (Yonsei University Institute of Music Research)
초록

본 논문에서는 작곡가 이상근이 일생 동안 애정을 가지고 작곡하였으나, 연구가 미흡한 합창분야를 중심으로 그의 음악을 조망하였다. 음악분석은 중기와 후기의 합창곡을 중심으로 이루어졌고, 결론에서 이상근 합창음악 전체의 음악적 특징을 시기적으로 정리하였다.
이상근의 초기 합창곡은 자연과 사람을 주제로 하는 서정적인 곡들로 한국적인 것의 현대화와 인상주의 기법의 한국화를 도모하는 가운데 ‘친근성’이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중기 합창곡은 초현실주의 시의 내용에 따라 초기의 현대적 어법이 보다 추상적이고 극단적인 표현주의적 기법으로 나타났다. ‘말하는 노래(Sprechstimme)’는 한국적 시김새와 관련하여 작곡가의 독특한 방법으로 다양화되고 한국화되었다. 후기의 합창음악은 초기 양식에서처럼 자연과 인간을 주제로 한 텍스트를 가져온다. 하지만 전통음악적 소재와 현대적 음악어법은 보다 기악과 성악에서 보다 다양하고 표현되며, 공간적 의미까지를 포함하여 우연성 음악에의 접목까지 한층 포괄적으로 표현되었다.
전체적으로 그의 합창음악에는 동시대의 한국 창작음악의 미학적 관점인 ‘친근성’, ‘현대성’, ‘민족성’이 시대적으로 비중을 달리하지만, 작곡가의 부단한 도전정신에 의거하여 시기별로 독창적으로 드러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The paper deals with the analysis of Sang Guen Lee's choir music and his musical style from the middle and late period.
His early choir music is characterized by ‘familiarization’, because he choiced the lyric text about nature and human. His choir works of the middle period are distinguished by ‘modernization’, for example, of the ‘spoken voice(Sprechstimme) which is used for the surrealistic text. The modernity in his choir music has changed in the sense of impressionism to the expressionism. In the late period as well as in the latter half of the middle period, he selected again the text about nature and human as in the first period. But the musical language has contained a wide variety in the voice and instrument and his musical idea is expanded in the level of spatiality.
In his choir music is generally characterized by familiarization, modernization and Koreanization from the aesthetic point of view in his contemporary Korean composers. He tried to develop these views in his own creativity and apply them constrantly for his choir music.

목차
1. 들어가면서
 2. 중기와 후기 합창곡의 출처와 분류
 3. 중기 합창곡의 분석
  3.1. 《오감도(烏瞰圖) Op. 36》(1959)
  3.2. 《3개의 메뉴 Op. 38》(1959)
  3.3. 《사계절(四季節)의 노래 Op. 49》(1967)
  3.4. 《제주도 민요에의 초대 Op. 50》(1967)
 4. 후기 합창곡의 분석
  4.1. 《청산별곡 Op. 67/65》(1975)
  4.2. 《한국의 꽃 I Op. 58/69》(1977)
  4.3. 《한국의 꽃 II Op. 59/70》(1992)
  4.4 《오륙도 Op. 89》(1994)
 5. 나가면서
 참고문헌
저자
  • 지형주(연세대학교) | Hyung Joo Ch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