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20세기 후반의 협주곡에 나타난 음악의 극화(劇化) 연구(II) - 헨체의 《장미의 기적》(Le Miracle de la rose)을 중심으로 KCI 등재

A Study (II) on Musical Dramatization Manifested in Concert During the Latter Half of 20th Century - Focusing on Le Miracle de la rose of Hans Werner Henze -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73689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6,400원
음악이론포럼 (Music Theory Forum)
연세대학교 음악연구소 (Yonsei University Institute of Music Research)
초록

본 논문은 20세기 후반에 독주 악기와 오케스트라의 결합인 전통적인 협주곡 양식을 기초로 새로움을 추구한 작품들에 대한 학문적인 관심에서 출발하여 당대의 대표적인 작곡가인 헨체의 클라리넷 협주곡 《장미의 기적》를 극화의 관점에서 연구한 것이다.
《장미의 기적》은 독주 클라리넷과 13명의 악기주자로 구성된 오케스트라를 위한 곡으로, 헨체는 이 작품을 프랑스의 작가 주네의 자전적인 동명 소설에서 내용의 일부를 차용하고 소설의 제목을 곡의 표제로 써서 이야기가 있는 가상의 무대를 핵심으로 하는 극화된 협주곡으로 창작하였다. 그는 음악 외적인 내용을 담고 있으나 기악곡인 이 작품을 음악적으로도 동등하게 이해할 수 있는 방법으로 독주 악기 및 몇몇의 개별 악기에게 이야기 속 등장인물의 역할을 부여하였다. 아울러 오케스트라에게는 음향적인 뒷받침과 이야기 진행 중의 극적인 상황에서 때때로 악기를 통해 감정을 표현하게 하였다. 이렇게 구성된 악곡의 연주를 들으며 청중은 가상의 무대에서 전개되는 이야기를 연상하는 것이다.
헨체는 《장미의 기적》의 작곡을 통하여 극적인 내용을 바탕으로 하는 기악곡의 창작에 있어서독주 악기와 오케스트라의 결합인 독주협주곡 양식이 활용될 수 있는 훌륭한 예를 제공하였고, 동시에 전통적인 독주협주곡 양식이 20세기 후반에도 지속적으로 새로운 창작의 아이디어를 제공하는 중요한 소재가 된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This study examines the clarinet concerto Le Miracle de la rose of Henze, one of the most renowned composers of the late 20th century, from the perspective of dramatization with academic interest in works that pursued novelty based on traditional concerto format, a combination of solo musical instrument and orchestra in the latter part of the 20th century.
Le Miracle de la rose is a tune for orchestra consisting of solo clarinet and 13 musical instrument performers. For this work, Henze adopted some part from a novel with same title which was a biographic novel written by French author Genet, and used the title of the novel as the tune title to create a dramatized concerto highlighting an imaginary stage with stories.
Although he incorporated external contents of music into his work, he assigned the roles of characters in story to solo musical instrument and some individual musical instruments to ensure that this work, an instrumental music, would be understood equally in terms of music. Moreover, he expressed emotion through musical instruments in dramatic situations while the story was unfolding, along with acoustic support for orchestra. The audience could found that the tune of music formed in that way was reminiscent of stories being unfolded on an imaginary stage. Henze presented an excellent example that the concerto format, a combination of solo musical instrument and orchestra, could be used for creation of instrumental music based on dramatic contents through composition of Le Miracle de la rose . At the same time, it showed that the traditional concerto form could provide important basis for presenting new creative ideas continuously also in the latter part of the 20th century.

목차
1. 들어가면서
 2. 이야기가 있는 가상의 무대
  2.1 클라리넷 협주곡 《장미의 기적》
 3. 나가면서
 참고문헌
저자
  • 한상명(성신여자대학교) | Sang Myung Ha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