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뇌졸중 환자의 형태 항상성 KCI 등재

Form Constancy in Stroke Patient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76534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대한작업치료학회지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대한작업치료학회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초록

목적 : 뇌졸중 환자의 형태 항상성의 특성을 조사하고 형태 항상성에 영향을 주는 주요 요인을 밝히기 위함이다.
연구방법 : 뇌졸중 환자 25명과 비슷한 연령의 정상인 27명이 실험에 참여하였다. 실험 재료는 80개의 모양을 방향만 달리 회전하여 오른쪽과 왼쪽에 하나씩 제시하도록 3차원 그래픽을 사용하여 제작하였고 심리학 실험 프로그램 수퍼랩에서 재현되도록 하였다. 참가자는 프로그램이 제시하는 대로 반응하도록 하였다. 80개의 모양은 20개씩 4가지 조건으로 구성되었다(깊이 단서 없음, 음영 깊이단서, 선형조망 깊이 단서, 음영과 선형조망 깊이단서).
결과 : 뇌졸중 환자들이 정상인보다 형태 항상성 판단 실험에서 정확도가 떨어지고 반응속도가 느렸고 깊이 단서가 제시된 경우가 그렇지 않은 통제조건보다 정확도가 높고 반응 속도도 빨랐다(p < .01).
결론 : 뇌졸중 환자는 시지각 능력 중 형태 항상성에 어려움이 있으며 형태 항상성을 돕는 요인인 깊이 지각은 이러한 어려움이 있는 환자들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performed to investigate characteristics of Form constancy for stroke patients and to make clear main factors inducing shape constancy.
Methods : The subjects consisted of 25 stroke patients and 27 unaffected adults. In Experiment, artificially constructed 80 shapes using 3D Max graphic software and realized materials with superlab experimental program. Each 20 materials of all materials have 4 conditions (no depth cue, shadow, linear perspective, shadow+linear perspective depth cues).
Results : First, Patients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unaffected adults in accuracy grade(p<.01), and longer than in response time.
Conclusion : This result shows that stroke patients have main problem on Form constancy and depth cue can support shape constancy ability of stroke patients.

목차
국문초록
 I. 서론
 II. 연구방법
  1. 조사대상
  2. 실험재료
  3. 실험절차
  4. 실험 설계 및 분석 방법
 III. 결과
 IV. 고찰
 V.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
  • 김영근 | Kim Young-Geun
  • 김한수 | Kim Han-So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