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LOTCA-G(Lowenstein Occupational Therapy Cognitive Assessment-Geriatric Population)를 이용한 도시지역노인의 인지기능연구 KCI 등재

Study of Cognitive Function for Elderlies in Urban Areas (Using the Loewenstein Occupational Therapy Cognitive Assessment-Geriatric Population)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76537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500원
대한작업치료학회지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대한작업치료학회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초록

목적 : 본 연구는 임상적 활용을 위하여 LOTCA-G 번역판을 사용하여 도시지역 노인의 인지기능을 알아보고, LOTCA-G 한국판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확보하고자 시행되었다.
연구방법 : 연구대상자는 대전광역시에 거주하는 뇌손상의 경험이 없거나 치매로 진단받지 않은 65세 이상의 노인 117명이었으며 직접 면접조사 및 LOTCA-G를 사용한 인지기능평가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 수집 기간은 2005년 3월 11일에서 4월 2일까지로 23일간 실시되었다.
결과 : 1. 연구대상자들의 LOTCA-G를 이용한 인지기능 검사 점수는 총점 104점에 평균 92.17±10.66점이었으며, 연령이 낮은 군일수록, 교육수준이 높은 군일수록 인지기능점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2. LOTCA-G의 각 하위영역별 평가 점수는 교육수준이 높은 군인 경우에 대부분의 영역에서 유의하게 높았고, 연령이 높은 군일수록 각 영역 별로 점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아졌다.3. LOTCA-G의 각 하위영역 간 관계는 실행력과 주의력/집중력을 제외하고는 모든 영역 간에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4. MMSE-K와 LOTCA-G의 총점수를 비교했을 때 유의한 높은 상관관계를 가짐을 알 수 있었으며, MMSE-K의 분류별 점수에 따른 LOTCA-G의 점수는 24점 이상(96.35±5.52), 23-18점(87.72±5.52), 17점(55.40±16.56)으로 각 각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결론 : LOTCA-G를 사용한 도시지역 노인의 인지기능수준은 연령, 교육기간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간이신경검사인 MMSE-K와 비교하였을 때 LOTCA-G는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어 연구에서 사용된 한국어로 번안된 본 도구도 인지기능을 평가하는 데 타당함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외국에서 개발된 LOTCA-G를 그대로 번안 하여 사용한 것이므로 문화적, 사회적 차이로 인한 문항 간 차이점이 존재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후속 연구에서는 이러한 점을 수정 및 보완하여 한국판 LOTCA-G를 개발하는 것이 필요하겠다.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ognitive function of elderlies in urban areas, and to use the result for the basic data for Korean version LOTCA-G’s later development.
Methods : The subjects of this study was total 117 elderlies dwelled in Daejon city and aged over 65 who doesn’t have any record of having brain damage or dementia. During 23 days which was from March 11th, 2005 to April 2nd, 2006, Subjects were interviewed and evaluated on Loewenstein Occupational Therapy Cognitive Assessment for geriatric population(LOTCA-G).
Results : 1. The average scores for LOTCA-G of the elderlies were 92.17±10.66 out of total score 104. The scores were higher for younger person than older person, and a person who had a higher education level.2. The scores for each sub test of LOTCA-G were significantly got lower for older and lower education level group.3. Each sub test of LOTCA-G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in the most of the subtest except for the performance and attentiveness/concentration.4. When comparing Mini-Mmental State Examination test - Korean Version(MMSE-K) with LOTCA-G’s scored, they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s. And according to classification on the MMSE-K’s scores, the scores of LOTCA-G were 96.35±5.52(over 24), 87.72±5.52(23-18), and 55.40±16.56(below 17). LOTCA-G’s scores for each classification had significant diffferences.
Conclusion : Using LOTCA-G, elderlies in urban areas’ cognitive function levels had differences in age and education level. Comparing to the MMSE-K, LOTCA-G had significant correlations, so this showed that LOTCA-G adapted into Koreans used in study had validity in evaluating cognitive function.However, considering the differences in psychomeric evaluation scores which affected by culture and society, it is required to develop korean version LOTCA-G by modifying it and adding complements in later study.

목차
국문초록
 I. 서론
 II. 연구 방법
  1. 연구 대상 및 자료수집 방법
  2. 연구도구 및 절차
  3. 분석 방법
 III. 연구 결과
  1.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2. 성별, 연령, 교육수준에 따른 LOTCA-G점수
  3. LOTCA-G 영역간의 상관관계
  4. MMSE-K 분류에 따른 LOTCA-G 인지기능 점수
  5. LOTCA-G와 MMSE-K 영역 간의 상관관계
 IV. 고찰
 V.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
  • 장기연 | Chang Ki-Yeon
  • 김지연 | Kim Ji-You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