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재활치료사의 사회학적 변인이 근무지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작업, 물리치료사를 중심으로 KCI 등재

The Study on the Sociological Variable of Rehabilitation Therapist on Work Orientation: Focusing on Occupational Therapist and Physical Therapist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76539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300원
대한작업치료학회지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대한작업치료학회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초록

목적 : 재활치료사들의 근무지향-직무만족도와 조직몰입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파악하여 가장 효과적인 조직 문화 유형을 구축하고자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 연구는 작업치료사와 물리치료사 340명을 대상으로 자기기입식 질문지를 사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측정도구는 근무지향에 대한 문항으로 구성되었으며,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하여 타당도 검증을 실시하였다. 또한 신뢰도 검증을 위하여 Cronbach α 계수를 통해서 확인하였다. 근무지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의 인과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공변량구조분석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 분배정의는 조직몰입에 대해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지만 직무만족에 대해서는 유의미하지 않았다. 절차정의는 외생변인 중에서 가장 강하게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직업결사가 강할수록 직무만족와 조직몰입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자율성이 높을수록 직무만족에는 유의미한 영향력을 나타냈지만 조직몰입에는 유의미하지 않았다.
결론 : 조직몰입도를 설명하는 가장 중요한 요인은 직무만족도였으며, 그 다음으로는 절차정의, 직업결사, 분배정의, 교육수준 순으로 중요한 설명요인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Objective : This study aims at establishing the most effective organization type by grasping the effect factors on the work orientation of rehabilitation therapist,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 commitment.
Methods : Data was collected by using the self-reported questionnaire towards 340 occupational therapists and physical therapists. Measurement instrument was composed of questions on the work orientation. Validation was conducted through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coefficient, Cronbach was confirmed through analysis. In order to verify the causality of factors, influencing the work orientation, analysis was conducted through covariance structure analysis.
Results : Division justice has significant effect on the organization commitment, but doesn’t have significant effect on the job satisfaction. Procedure justice has significant effect on the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 commitment. Job association is strong, it has significant effect on the organization commitment. Autonomousness is high, it has significant effect on the job satisfaction, but doesn’t effect on the organization commitment.
Conclusion : The most important factor to explain the organization commitment was the job satisfaction, and the sequences of important explanation factor were procedure justice, job association, division justice, and education.

목차
국문초록
 I. 서론
 II. 연구 방법
  1. 연구 대상
  2. 연구 도구
  3. 내용 분석방법
 III. 연구 결과
 IV. 고찰
 V.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
  • 전병진 | Jeon Byoung-Jin
  • 문정인 | Moon Jung-In
  • 이경식 | Lee Kyoung-Si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