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직업에 복귀한 요통산재근로자에 대한 작업강화 프로그램 효과 KCI 등재

The Effects of a Work-Hardening Program for Workers Returning to Work With Low Back Pain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76606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300원
대한작업치료학회지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대한작업치료학회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초록

목적 : 연구의 목적은 산재요양 후 복귀한 요통산재근로자의 업무적응을 위해 개발한 작업강화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 이를 위해 창원의 소형자동차 생산업체에서 6개월 이상 산재요양을 한 후 복귀한 요통산재근로자를 대상으로 2005년 8월 1일부터 11월 30일 사이에 연구를 실시하였다. 작업강화 프로그램에 참여할 실험군(18명)과 대조군(20명)은 노사협의를 통해 선정하였다. 실험군은 두려움-회피 신념 모델을 기초로 개발된 개별화된 작업강화 프로그램에 하루 2시간씩, 주 5회, 약 8주간 참여하였다. 대조군은 기존의 방식대로 2주간을 적응기간을 거쳐 이미 복귀한 상태에 있었다. 본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실험군의 프로그램 참여 전․후의 두려움-회피 신념, 요통 장애, 시각적 통증 수준, Becks 우울 척도의 점수, 그리고 안전한 최대 중량의 차이를 비교하였다. 그리고 이들 평가항목들에 대해 대조군의 평가결과와 비교하였다. 결과 : 실험군은 프로그램 참여 전에 비해 참여 후에 업무와 관련된 두려움-회피 신념(FABQ1-work), 요통 장애 수준, 시각적 통증 수준, Becks 우울 척도의 점수 및 안전한 최대 중량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향상되었다(p<.05). 그리고 실험군은 평균 35.8(±6.4)일, 약 6~8주간 작업강화 프로그램에 참여하였는데, 이를 통하여 이미 정상적으로 업무를 수행 중인 대조군과 대등한 수준까지 기능적으로 향상되었다. 결론 : 본 연구에서 실시한 개별화된 작업강화 프로그램은 복귀한 요통산재근로자의 업무적응 기간을 단축시키는 데 효과적이었다. 그러므로 요통산재근로자의 조기 직업복귀 지원을 위해 작업강화 프로그램 도입이 정책적으로 검토되어야 할 것이다.

Objective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xamine the effects of a work-hardening program on workers who returned to their jobs after medical treatment for work-related low back pain. Methods : This study was conducted in a domestic car manufacturing company from August through November, 2005, and all participants returned to their jobs after over 6 months of medical treatment for work-related low back pain. Experimental (N=18) and control groups (N=20) were selected for the study. For the experimental group, an individualized education and exercise program built on a fear-avoidance beliefs model was provided for 2 hours a day, 5 days a week for approximately eight weeks. For the control group, workers who returned to their normal jobs through a long adaptation period after returning to work were select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two groups were compared by the scores of fear-avoidance beliefs, disability of activities of daily living, pain intensity, depression, and the safe maximum weights in pre- and post-tests. Results : Statistically significant decreases in the scores of fear-avoidance work beliefs (FABQ1-work), disability of activities of daily living due to low back pain (RDQ), pain intensity (VAS), and depression (K-BDI), and the safe maximum weights assessed at three different heights were found after intervention in the experimental group (p<.05). The mean working period after returning to work in the experimental group was 6.1 (±3.2) months, while that of the control group was 22.4 (±14.9) months, which were statistically and significantly different (p<.05). The results showed that, in adapting to their job, the functional status of the experimental group improved up to the level of the control group in about 8 weeks. Conclusion : This study confirmed that an individualized work-hardening program in the workplace is an effective means for improving workers' functional capacity and for decreasing the duration of a period of adaptation to work. We expect that in the future, the study of work-hardening programs to support an early return of workers with low back pain will be vitalized.

목차
국문초록
 I. 서론
 II. 연구 방법
  1. 연구대상자 선정 및 특성
  2. 연구 도구
 III. 연구 결과
  1. 실험군의 작업강화 프로그램 참여 전 · 후 비교
  2. 실험군과 대조군의 평가결과 비교
  3. 작업강화 프로그램 참여 전 · 후의 영향요인 분석
 IV. 고찰
 V.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
  • 박소연 | Park So-Yeon
  • 김현욱 | Kim Hyun-Woo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