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재활승마가 뇌성마비아동의 경련성과 근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KCI 등재

The Effect of Hippotherapy on Spasticity and Muscular Activity in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76697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대한작업치료학회지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대한작업치료학회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초록

목적 : 본 연구는 뇌성마비 아동에게 재활승마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경련성과 근의 활성도에 재활승마가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연구 대상자는 12세 미만의 경련성 뇌성마비 아동 9명이었으며, 8주 동안 16회의 재활승마를 실시하였다. 재활승마 적용전, 2주, 4주, 8주 때에 주관절과 슬관절 굴곡근의 경련성 정도와 근 활성도를 측정하였다. 경련성은 Ashworth 척도, 근 활성도는 무선 표면 근전도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경련성과 근활성도의 차이를 비교하기 위하여 반복측정 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통계적 유의수준은 .05로 하였다. 결과 : 재활승마 프로그램을 적용한 결과 주관절 굴곡의 경련성은 기간의 증가에 따라 유의하게 감소하는 결과가 나타났고, 슬관절 굴곡의 경련성은 기간의 증가에 따라 유의하게 감소하는 결과를 보였다(p<.05). 상완이두근의 근활성도는 기간의 증가에 따라 유의하게 증가하는 결과가 나타났으며, 대퇴이두근의 근활성도는 기간의 증가에 따라 유의하게 증가하는 결과를 보였다(p<.05). 결론 : 재활승마 후에 뇌성마비 아동의 경련성 감소와 근활성도 증가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뇌성마비 아동의 경련성과 근 활성도를 개선을 위해 재활승마는 유용한 방법이라고 할 수 있겠다.

Objective : In this study, the effects of hippotherapy sessions on spasticity and muscular activity in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were investigated. Methods : Nine children under 12 years old with spastic cerebral palsy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subjects met the following criteria: the ability to sit independently with their feet on the ground with no back support; the ability to stand and walk independently with or without an assistive device; and sufficient hip abduction for sitting astride a horse. The spasticity of each subject was obtained using a Modified Ashworth Scale, and the muscular activity was measured using a TelemyoTM 2400TG2, which is an EMG device from Noraxon, Inc. before and 2, 4, and 8 weeks after the hippotherapy sessions. Repeated ANOVA measurements using SPSS were conducted to analyze the influence of the hippotherapy sessions on the spasticity and muscular activity of the children.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defined as p<.05. Results : There was a decrease in the spasticity of the elbow and knee flexions after the hippotherapy sessions. There was an increase in the muscular activity in the brachii muscle of the biceps and in the quadriceps muscle after the hippotherapy sessions. Conclusion : After the application of hippotherapy for childeren with cerebral palsy, a meaningful decrease in the spasticity and an increase in muscular activity could be seen.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1. 연구 기간 및 대상
  2. 실험방법
  3. 측정방법
  4. 분석방법
 Ⅲ. 연구 결과
  1. 재활승마 프로그램의 적용 기간에 따른주관절 굴곡의 경련성 비교
  2. 재활승마 프로그램의 적용 기간에 따른슬관절 굴곡의 경련성 비교
  3. 재활승마 프로그램의 적용 기간에 따른근활성도의 비교
 Ⅳ. 고찰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
  • 이인실 | Lee In-Sil
  • 김진상 | Kim Jin-Sang
  • 김소영 | Kim So-You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