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성능기반 내풍설계 도입과 관련된 제언

A Proposal for the Introduction of Performance-Based Wind Design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81253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The Korea Institute For Structural Maintenance and Inspection)
초록

고층건물의 설계에서는 풍하중이 지진하중에 비해 지배적이며, 탄성 설계만을 허용하는 국내 설계기준(KBC 2016)으로 인해, 구조물에 과도한 배근이 되고 성능기반 내진설계에서 취성적인 거동을 보이게 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내풍 설계에서도 비탄성을 고려한 성능기반 내풍설계가 요구된다. 이를 위해 공진 성분에 반응수정계수를 도입하여 비탄성 설계를 수행하고, 이를 풍동실험이나 파워스펙트럼으로부터 시간이력 하중을 재생하여 비선형 시간이력해석을 통해 성능을 검증하여, 구조물의 안전성과 경제성을 확보할 수 있다.

저자
  • 강현구(서울대학교 건축학과) | Kang Thomas H.-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