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비틀린 중공사막이 모듈에 미치는 영향: 전산 유체역학 시뮬레이션을 통한 정삼투 모듈의 압력과 농도 분포 KCI 등재

Effect of Twisted Hollow Fiber Membranes in a Module: Computational Fluid Dynamics Simulations on the Pressure and Concentration Profile of the Module in the forward Osmosi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88134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300원
멤브레인 (Membrane Journal)
한국막학회 (The Membrane Society Of Korea)
초록

본 연구에서는 정삼투 중공사막 모듈에서 중공사막의 가닥을 비틀어 배치하였을 때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CFD 전산 유체 역학 프로그램을 통해 5개의 다른 각도로 비틀린 중공사막 모듈을 설계하고 시뮬레이션하여 비틀리지 않은 모듈과 비교하였다. 실험 결과, 중공사막이 비틀렸을 때, 모듈 내부의 유도 용액의 농도가 비틀리지 않을 때에 비해 고르게 분포하였 다. 모듈 입구의 압력은 중공사막의 비틀림과 관계없이 일정한 값을 보였지만 출구의 압력은 중공사막이 비틀린 정도가 커질 수록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다. 출구의 압력이 높아짐에 따라 막 내부의 유체 속도가 감소하고 모듈 체류 시간이 증가하여 막 사이의 물질 교환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것으로 예측된다. 이는 결과적으로 막이 비틀려 있을 때의 모듈 플럭스가 투과 수량 이 차지하는 비율이 그렇지 않을 때에 비해 2배 증가하였다.

The current study focused on the effect of twisting hollow fibers (HFs) in a module during forward osmosis operation mode. Computational fluid dynamics simulation was employed for a straight HF module and twisted modules with five different angles to predict the mass transfer and observe the draw solution profile in terms of concentration and pressure. The simulation results showed that when the membranes were twisted, the concentration was distributed more evenly and the pressure at the module outlet increased gradually as the twisting angle increased. As pressure at the outlet increased, the fluid velocity inside the membrane decreased and the residence time of fluid increased, thereby facilitating mass exchange across the membrane. This is evidenced by a doubling of the ratio of water flux through the membrane in module flux when the HFs were twisted.

목차
요 약
Abstract
1. Introduction
2. Experimental Methods
    2.1. Simulation conditions
    2.2. Governing equations
    2.3. Structure of the module
3. Results and Discussion
    3.1. Concentration profile of the NaCl drawsolution
    3.2. Pressure profile of the module
    3.3. Flux of the module
4. Conclusions
Reference
저자
  • 김수헌(광주과학기술원 지구환경공학부) | Suhun Kim (School of Earth Sciences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Gwangju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GIST))
  • 이철민(광주과학기술원 지구환경공학부) | Chulmin Lee (School of Earth Sciences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Gwangju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GIST))
  • 김인수(광주과학기술원 지구환경공학부) | In S. Kim (School of Earth Sciences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Gwangju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GIST))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