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국내 주요호수의 육수학적 조사(3) : 진양호 KCI 등재

The Limnological Survey of Major Lakes in Korea (3): Lake Jinyang.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88283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900원
생태와 환경 (Korean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초록

1993년 6월부터 1994년 5월까지 진양호에 대한 육수 학적 조사가 월간 조사로 실시되었다. 표층의 투명도, 엽록소 a, 총질소, 총인농도 및 일차생산력은 조사기간 각각 0.8~3.5 m, 0.9~13.6 mgChl/m3, 0.78~2.32 mgN/l, 11~56 mgP/m3, 270~2,160 mgCm-2 day-1로 이들의 하계 평균농도로 산정한 진양호의 영양상태는 부영양호에 해당된다. 진양호의 투명도에는 엽록소 a 보다 부유물질 (SS)로 나타나 무기성부유물질(NVSS)이 투명도에 크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인다. 총인 농도는 하계에 높게 나타났고 질소농도보다 상대적으로 큰 계절변동을 보였다. 연간 TN/TP 원자비는 61~334으로 국내 대형인공호 중 대체로 낮은 수준에 해당된다. 식물플랑크톤군집은 하계에는 남조류인 Microcystis ichthyoblabe, M. aeruginosa과 녹조류인 Chlorella sp.와 Cosmarium sp.가 우점하였으며 추계와 동계에는 규조류인 A. granulata, A. granulata var. angustissima A. distans가 우점하였다. 동물플랑크톤은 요각류 유생이 연중 우점하였고 8월과 10월에는 요각류 유생 이외에 지각류인 Bosminopsis deitersi, Bosmina longirostris가 각각 우점하였다. 조사 기간 진양호 퇴적물의 조사정점별 유기탄소 및 인, 질소의 평균 함량은 각각 0.4~9.4 mgC/g, 0.14~0.62 mgP/g, 0.59~1.23 mgN/g으로 동기간 조사된 체류시간이 긴 호수들보다 크게 낮았다. 진양호의 연간 평균 C/N 비는 2.6~9.2로 oligohumic한 상태이다. 진양호의 연간 수면 적당 인부하량은 6.4 gPm-2 yr-1로 부영양화 임계부하량 (4.1 gPm-1 yr-1)을 초과하고 있다. 진양호의 유역으로부 터의 유기물 유입량은 3,429 tonC/yr이며 식물플랑크톤 의 일차생산에 의한 자체생성유기물량은 4,632 tonC/yr 으로 전체 유기물부하량중 자체생성 유기물 비율이 높았으나 외부 유역의 유기물 부하량도 크게 나타났다. 진양호와 같이 체류시간이 짧은 호수는 체류시간이 긴 호수들에 비해 자체생성유기물의 비중이 낮기 때문에 유역에서 발생되는 유기물의 처리효율을 높일 경우 수질 개선효과가 크게 나타날 것으로 보이며 아울러 부영양화 원인물질인 인, 질소는 비점오염원에 대한 관리에 초점을 맞춰야 할 것으로 보인다.

The limnological survey of Lake Jinyang was conducted from June 1993 to May 1994 on the monthly basis. Secchi disc transparency, epilimnetic chlorophyll a (chl-a), total nitrogen (TN), total phosphorus (TP) concentration and primary productivity were in the range of 0.8~3.5 m, 0.9~13.6 mgChl/m3, 0.78~2.32 mgN/l, 11~56 mgP/m3, 270~2,160 mgC m-2 day-1, respectively. On the basis of TP, Chl-a and Secchi disc depth, the trophic state of Lake Jinyang was eutrophic. Water clarity was more strongly related to total suspended solids (TSS, R2=0.65) than algal chl-a (R2=0.36), implying that non volatile suspended solids (NVSS) strongly influenced transparency. TP increased in warm seasons and exhibited a greater relative degree of variability than TN. TN/TP atomic ratio varied from 61 to 334. The dominant species of phytoplankton were Aulacoseira granulata, A. granulata var. angustissima, A. distans, Microcystis sp. Chlorella sp. and Cosmarium sp. The dominant zooplankton species were Bosminopsis deitersi and Bosmina longirostris. The organic carbon, nitrogen and phosphorus content of lake sediment were 0.4~9.4 mgC/g, 0.14~0.62 mgN/g, 0.59~1.23 mgP/g, respectively. TP loading from the watershed and fishfarm were estimated to be 6.4gPm-2 yr-1, which far exceeded the critical loading (4.1gPm-2 yr-1) for eutrophication. The allochthonous organic carbon loading from the watershed and autochthonous organic carbon loading by primary production of phytoplankkton were determined to be 3,429 tC/yr, 4,632 tC/yr, respectively. These results emphasize the need for control of allochthonous organic carbon as well as phosphorus input, which trigger algal growth, to improve water quality of Lake Jinyang.

목차
서 론
재료 및 방법
    1. 조사지역 개황
    2. 조사 및 분석방법
결과 및 고찰
    1. 수문학적 특성 및 수체의 물리학적 특성
    2. 수체의 화학적 특성
    3. 엽록소 a, 1차생산력, 유기물 분포
    4. 식물플랑크톤의 군집동태
    5. 동물플랑크톤의 군집동태
    6. 퇴적물의 인∙질소 및 유기탄소 분포
    7. 부영양화도 및 판정항목간의 상호관계
적 요
참 고 문 헌
저자
  • 김범철(강원대학교 환경학과) | Kim Bomchul (Dept. Environmental Science, Kangwon National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
  • 박주현(한강환경관리청) | Ju-Hyun Park (Han River Environmental Management Office)
  • 허우명(삼척산업대학교 환경공학과) | Woo-Myung Heo (Dept. of Environmental Engineering, Samchok National University)
  • 임병진(국립환경연구원) | Byung-Jin Lim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 황길순(강원대학교 환경학과) | Gilson Hwang (Dept. Environmental Science, Kangwon National University)
  • 최광순(강원대학교 환경학과) | Kwangsoon Choi (Dept. Environmental Science, Kangwon National University)
  • 채기숙(강원대학교 환경학과) | Ki-Sook Chae (Dept. Environmental Science, Kangwon National Univer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