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대청호의 년중 식물플랑크톤 군집 동태 KCI 등재

Dynamics of Phytoplankton Community in Lake Daechung.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88310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생태와 환경 (Korean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초록

댐저수지의 년간 식물플랑크톤 발생 현황과 특성을 규명하고자 대청호를 대상으로 ’97년 10월부터 ’98년 10 월까지 1년간 1주 간격으로 조사를 수행하였다. 총인 농도의 년중 평균치는 0.025 mg/L로써, algal bloom을 야기시킬 수 있는 기준인 0.01 mg/L를 상회하였다. 6월말 까지는 5,000 cells/mL 이하의 현존량을 보이다 수온이 25°C를 넘는 고수온기인 7월 초순부터 9월 중순까지 약 70일간 남조류 수화가 유발되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8월 중순 집중강우 시기를 제외하고는 하절기 동안 거의 모든 정점에서 10,000 cells/mL 이상의 현존량을 나타내었다. 대청호에서 하절기 수화의 원인종은 Microcystis屬 (M. ichthyoblabe, M. aeruginosa)과 Anabaena屬(A. spiroides var. crassa, A. planctonica), 그리고 Oscillatoria limosa 등으로 확인되었다. 수온이 20°C 이하인 ’97년 10월 하순부터 ’98년 4월 중순까지는 Aulacoseira속 등의 규조종이 우점하였으며, 수온이 20°C를 넘기 시작하는 6월 초순 이후에는 Anabaena planctonica 등의 남조류가, 그리고 4월 하순부터 6월 초순까지는 규조종과 갈색편모조강, 남조류 등이 혼재하여 우점종으로 조사되었다. 8월 중 300 mm 이상의 집중 강우기에는 수층 불안정 과 flushing 효과에 의해 식물플랑크톤 현존량이 크게 감소하였다. 댐저수지에서 남조류 수화 발생시, flushing 이 효과적인 남조류 저감 방안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An annual dynamics of phytoplankton community in lake Daechung was studied at weekly intervals from October 1997 to October 1998. Total 109 taxa were recorded, of which 14 taxa became dominant at least once. The cell densities of the phytoplankton showed under 5,000 cells/mL until late June when the water temperature was below 25°C. However, they rapidly increased over 10,000 cells/mL since early July. Microcystis aeruginosa, M. ichthyoblabe, Anabaena planctonica, A. spiroides var. crassa, Oscillatoria limosa mainly caused cyanobacterial blooms from July to mid October. Diatoms were dominant for about seven months from late October 1997 to mid April 1998 when water temperature was below 20°C. However, their dominance shifed to blue green algae since July with water temperature greater than 20°C. Phytoplankton cell densities were abruptly decreased since August 17 because of the heavy rain over 300 mm during the week. The decrease may be caused by the confusion of water thermal stratification and the direct flushing effect. In this study, it is proposed that flushing should be an effective measure to control cyanobacterial blooms in dam reservoir.

목차
서 론
재료 및 방법
결과 및 고찰
    1. 환경요인
    2. 식물플랑크톤 현존량
    3. 우점종 및 주요종의 출현도 비교
    4. 강별 구성비 비교
적 요
인 용 문 헌
저자
  • 이정호(대구대학교 사범대학 생물교육과) | Lee Jung Ho (Department of Biology Education, College of Education, Taegu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