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개방성의 형태와 전유성 메커니즘이 제품혁신에 미치는 영향 KCI 등재

The effect of Forms of Openness and the Appropriation Mechanisms on Product Innovation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88397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6,700원
기술혁신연구 (Journal of Technology Innovation)
기술경영경제학회 (The Korea Society for Innovation Management & Economics)
초록

최근의 연구는 개방형 혁신이 전략적 측면에서 혁신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에 중점을 두고 있어 개방성의 형태와 관련된 연구는 부족하다. 또한, 개방형 혁신을 위해 개 방을 해야 하지만 혁신을 보호해야 하기도 한다는 모순이 존재한다. 최근 이와 관련하여 혁 신 보호 연구의 필요성이 확대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개방성의 형태가 제품혁신에 미 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개방성의 형태와 제품혁신의 관계는 전유성 메커니즘에 따라 어떻게 달라지는지 탐구하였다.
본 연구는 OECD에서 개발하고 배포하는 CIS(Community Innovation Survey)를 기반으 로 국내 실정에 맞게 작성된 KIS(Korean Innovation Survey) 자료를 사용하였다. 연구의 주 요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개방성의 형태는 제품혁신에 정(+)의 영향을 미 친다. 구체적으로 외부 탐색은 활용적 혁신에 정(+)의 영향을 미쳤으며, 협업은 탐험적 혁신 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전유성 메커니즘은 개방성의 형태와 제품 혁신의 관계에 정(+)의 조절효과를 가진다. 구체적으로 공식적 전유성 메커니즘은 외부 탐색 과 활용적 혁신의 관계에 정(+)의 조절효과를 보였으며, 비공식적 전유성 메커니즘은 협업과 탐험적 혁신의 관계에 정(+)의 조절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된다. 첫째, 개방성의 형태를 기존의 방식과 는 다르게 외부 탐색과 협업으로 구분하였으며 이에 따라 제품혁신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 여 제품혁신의 유형과 적합한 개방성의 형태를 파악하였다. 둘째, 전유성 메커니즘의 특성에 따라 개방성의 형태와 제품혁신의 관계에 정(+)의 조절효과를 미치는 것을 파악하여 개방성 의 형태와 제품혁신의 유형에 따라 더 적합한 전유성 메커니즘 유형을 파악하였다.

Recent studies focus on how open innovation strategies affect innovation in enterprises, but lack research related to the forms of openness. There is also a paradox that an entity should open up for open innovation but also protect its innovation. In this regard, the need for research on innovation protection has expanded. Therefore, this study looked at the effect of the form of openness on product innovation, and explored how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orm of openness and product innovation depends on the appropriation mechanisms.
This study used data from the Korean Innovation Survey(KIS), which was developed and distributed by the OECD. The main finding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forms of openness has a positive effect on product innovation. Specifically, external search has had a positive impact on exploitative innovation, and collaboration has shown to have a positive impact on exploratory innovation. Second, the appropriation mechanisms has a positive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orms of openness and product innovation. Specifically, it was shown that formal appropriation mechanisms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xternal search and product innovation, and that informal appropriation mechanisms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ollaboration and exploratory innovation.
This study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First, this study has divided the forms of openness into external search and collaboration, unlike the existing method, and thus identified the type of product innovation and the appropriation mechanisms and forms of openness by identifying the impact on product innovation. Second,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appropriation mechanisms, it was identified that it had the moderating effect on the forms of openness and the relationship of product innovation, so that depending on the type of openness and the type of product innovation, the type of appropriation mechanisms more suitable was identified.

목차
국문초록
Abstract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및 가설
Ⅲ. 연구 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저자
  • 신서화(경북대학교 경영학부) | Seohwa Shin
  • 허문구(경북대학교 경영학부) | Moon-Goo Huh 교신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