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Growth Responses and Flowering of Kalanchoe Cultivars under Elevated CO2Concentration and Varying Daylength KCI 등재

이산화탄소 농도 및 일장에 따른 칼랑코에 생장 및 개화 반응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88950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화훼연구 (Flower Research Journal)
한국화훼학회 (Korean Society for Floricultural Science)
초록

본 실험은 CAM 식물인 칼랑코에(Kalanchoe blossfeldiana) 에 이산화탄소 시비 및 다양한 일장처리를 통한 생육반응을 조사하여 탄소자원화 기술 도입 방안을 모색하고 고품질 분화 묘 생산을 하고자 수행되었다. 실험은 서울여자대학교 ICT스마트형 유리온실에서 실시하였으며, 공시 재료는 칼랑코에 Kalanchoe blossfeldiana ‘Lion’, ‘Fikalrudak’ 두 품종이다. 일장은 8시간, 12시간, 16시간으로 처리하였으며 이산화탄소는 22:00~04:00에 평균 400㎛ol・mol-1(대조구)와 800㎛ol・mol-1로 처리했다. 엽수는 칼랑코에 ‘Lion’ 품종의 경우, 8시간과 12시간 일장에서, 칼랑코에 ‘Fikalrudak’ 품종의 경우, 8시간 일장에서 이산화탄소 농도 상승에 따라 증가하였다. 초장은 품종에 관계없이 일장 8시간에서 이산화탄소 농도를 400㎛ol・mol-1에서 800㎛ol・mol-1로 증가시킬 때 감소하였다. 칼랑코에 ‘Lion’ 품종에서, 미성숙엽의 엽장과 엽폭은 이산화탄소 농도 상승에 따라 일장 8시간과 12시간에서 증가하였다. 하지만, 칼랑코에 ‘Fikalrudak’ 품종의 미성숙엽 엽장과 엽폭은 이산화탄소 농도에 영향을 받지 않아 품종에 따른 반응 차이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마디수는 품종과 일장에 관계없이 이산화탄소 농도를 800㎛ol・mol-1로 증가시켰더니 증가하였으며, 개화소요일 수는 이산화탄소 농도에 영향을 받지 않았다. 개화는 품종에 따라 차이가 있었으며 칼랑코에 ‘Lion’ 품종에서는 8시간과 12시간 일장에서, 칼랑코에 ‘Fikalrudak’ 품종에서는 8시간 일장에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 칼랑코에는 이산화탄소 농도에 관계없이 단일 조건에서만 효과적으로 개화하며, 이산화탄소 시비는 칼랑코에 잎의 생산과 마디 생산을 촉진시킬 수 있었 다. 그러나 이산화탄소 고농도 시비는 칼랑코에 개화 품질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 시비 단계, 품종 등에 따른 적합한 시비 방법이 다르게 적용되어야 한다.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elevated atmospheric CO2 concentration of Kalanchoe blossfeldiana cultivars under different daylength treatments, in order to apply the carbon reduction method. CO2 treatment took place between 22:00 and 04:00 with an average of 400 μmol·mol-1 (control) and 800 μmol·mol-1 on Kalanchoe blossfeldiana ‘Lion’ and ‘Fikalrudak’. The photoperiod was controlled using an 8 h (08:00 to 16:00), 12 h (06:00 - 18:00), and 16 h (04:00 - 20:00) light-dark cycle. The number of leaves increased more in plants under the 800 μmol·mol-1 treatment than those in the control, with a photoperiod of 8 h and 12 h in both K. ‘Lion’ and 8 h in K. ‘Fikalrudak’. Plant height was lower in plants treated with 800 μmol·mol-1 CO2 than under the control treatment with an 8-h photoperiod of 8 h, regardless of K. blossfeldiana cultivars. In K. ‘Lion’, immature leaf length and width increased more in plants treated with 800 μmol·mol-1 CO2 than in the control, with a photoperiod of 8 h and 12 h. However, the leaf length and width of K. ‘Fikalrudak’ was not affected by CO2 concentration. The nodes were produced primarily by increasing CO2 concentration to 800 μmol·mol-1, regardless of daylength and K. blossfeldiana cultivars. Flowering time was not affected by daylength, however, K. ‘Lion’ bloomed within the photoperiod of 8 h and 12 h and K. ‘Fikalrudak’ bloomed only under a photoperiod of 8 h. K. blossfeldiana cultivars bloomed effectively under less light availability, regardless of CO2 concentration. These results showed that a CO2-rich enrichment promotes leaf and node production of Kalanchoe blossfeldiana cultivars under short-day conditions. Since high concentration of CO2 enrichment can have an adverse effect on flowering quality, appropriate CO2 enrichment methods for the developmental stage and cultivars should be applied on a case-by-case basis.

목차
Abstract
서 언
재료 및 방법
    실험 재료 및 재배 조건
    일장 처리
    이산화탄소 처리
    데이터 수집 및 통계분석
결 과
    영양생장 특성
    마디 및 개화 특성
고 찰
초 록
References
저자
  • Ah Ram Cho(서울여자대학교 원예생명조경학과) | 조아람
  • Hee Ji Yang(서울여자대학교 원예생명조경학과) | 양희지
  • Euna Kim(서울여자대학교 원예생명조경학과) | 김은아
  • Yoon Jin Kim(서울여자대학교 원예생명조경학과) | 김윤진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