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Gd-EOB-DTPA를 사용한 T1강조 자기공명 담도조영술의 지연검사를 통한 간담도 영상의 유용성 연구 KCI 등재

A Study on the Usefulness of 3D T1-Weighted MR Cholangiography Through Delay Test Using GD-EOB-DTPA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89061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R Technology (대한자기공명기술학회지)
대한자기공명기술학회 (The Korean Society of MR Technology)
초록

Gd-EOB-DTPA를 사용해 시간별로 3차원 T1강조 자기공명 담도조영술(T1W MRC)을 얻어 담즙 내로 배설되는 적절한 지연 시간을 알아보고, 이를 3차원 T2강조 자기공명 담도조영술(T2W MRC)과 비교하여 간담도 영상의 유용성을 평가하고자 한다. 본원을 내원하여 간 자기공명 영상을 검사한 30명의 간공여자를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T2W MRC와 T1W MRC를 비교 평가하였으며, T1W MRC는 조영제 주입 후 10, 15, 20, 25분에 획득하였다. 정량적 평가는 T1W MRC 영상의 right hepatic duct(RHD), intra hepatic duct(IHD), common bile duct(CBD)1, CBD2, CBD3에서 시간 변화에 따른 상대적 신호강도 비와 상대적 대조도 비를 산출하였고, 최대투사강도 영상에서 직경과 길이를 측정하였다. 정성적 평가는 T1W MRC 에서의 시간변화에 따라 리커트 5점 척도로 평가하였고 그 중 T1W MRC 15분 지연 영상을 선택하여 T2W MRC와 해부학적 구조를 리커트 5점 척도로 평가하였다. 정량적 평가에서 T1W MRC의 상대적 신호강도 비와 상대적 대조도 비의 경우 CBD3 은 조영제 주입 20분, 나머지 4곳의 측정 부위에서는 조영제 주입 15분 이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직경은 15분 이후, 길이는 20분 이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정성적 평가에서 T1W MRC의 조영제 주입 15분 이후, T1W MRC 와 T2W MRC를 비교한 결과 CBD와 인공물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 RHD, IHD, pancreatic duct(PD)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해부학적 정보만을 제공하는 T2W MRC 영상과 더불어 조영제를 주입한 T1W MRC 영상으로 간담도의 기능도 평가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따라서 15분 이후에 얻은 T1W MRC는 임상적인 가치가 있는 영상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usefulness of MR cholangiography(MRC) by comparing 3D T2-Weighted(T2W) MRC and 3D T1-Weighted(T1W) MRC using Gd-EOB-DTPA and finding the appropriate T1W MRC delay time. 30 patients who underwent liver magnetic resonance imaging were targeted in the study. The test compared T2W MRC and T1W MRC obtained in 10, 15, 20, 25 minutes after contrast injection. In the quantitative evaluation, the relative signal intensity(rSI) and relative contrast(rC) were measured at the right hepatic duct(RHD), intra hepatic duct(IHD), common bile duct(CBD)1, CBD2, and CBD3. diameter and length were measured in the maximum intensity projection image. The qualitative evaluation was evaluated on five-point scores scales at the T1W MRC. It was compared with anatomical structures of the T2W MRC and 15min delay T1W MRC images on a five-point score scale. In the quantitative evaluation, rSI and rC of T1W MRC showe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fter 20min delay in CBD3 and 15min delay in other four measurement areas.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diameter after 15min and length after 20min delay.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fter 15 min delay in the qualitative assessment of the T1W MRC. When T2W MRC and 15min delay T1W MRC were qualitatively evaluated,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ce in RHD, IHD and pancreatic duct(PD), however there wasn’t any in CBD and artifact. In addition to T2W MRC that provides only anatomical information, T1W MRC injected with contrast medium can help evaluate the liver function. In conclusion, T1W MRC obtained after 15 minutes is a clinically valuable image.

목차
Ⅰ. 서 론
Ⅱ. 대상 및 방법
    1. 연구대상
    2. 연구방법
    3. 영상평가
    4. 통계학적 분석
Ⅲ. 결 과
    1. 정량적 평가
    2. 정성적 평가
Ⅳ. 고찰 및 결론
References
저자
  • 구홍욱(서울대병원 영상의학과) | Hong-Uk Ku (Department of Radiology,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Corresponding Author
  • 방용식(서울대병원 영상의학과) | Yong-Sik Bang (Department of Radiology,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 김건영(서울대병원 영상의학과) | Geon-Yeong Kim (Department of Radiology,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 김용주(서울대병원 영상의학과) | Yong-Ju Kim (Department of Radiology,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 백보경(서울대병원 영상의학과) | Bo-Kyung Baek (Department of Radiology,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