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스포츠문화와 사회변화의 관계 탐색 KCI 등재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Sports Culture and Social Change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89664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The Korean Society of Applied Science and Technology)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구 한국유화학회) (The Korean Society of Applied Science and Technology (KSAST))
초록

오늘날의 스포츠는 그 자체만으로도 매우 다양한 현상을 표출하기도 하고, 복잡한 사회적 기호를 재생산하거나 의미를 내포하고 있다. 각 시대에서 중심적 이슈가 되고 있는 이데올로기와 결합하면서 변용되는 스포츠의 의미는 최근 더욱 다양해지고 있다. 최근 사회 현상을 주도하는 4차 산업혁명과 만나서 스포츠문화는 새로운 현상을 생산하고 있다. 과연 이러한 시대에 우리는 스포츠문화를 어떻게 이해하고, 해석해야 하는 것이 옳은 접근인가에 대한 고민에서 이 연구의 필요성이 있다. 각각의 학문별로 영역별로 살아남기 위한 몸부림, 그것이 스포츠문화의 재해석이라는 것으로 표현되었다. 스포츠문화가 어떻게 소비 되고, 확산되고, 재해석되어 가는가에 대한 궁금증을 해소하기 위함이다. 이를 통해 스포츠문화의 방향과 지향점을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 이 연구의 목적이다. 이와 같은 문제인식을 바탕으로 스포츠문화는 무엇을 소비하는가에 대한 답을 다섯 가지 형태로 제시하였다. 이를 근거로 스포츠문화의 확산 매개체로 학교체육, 스포츠 동호회(스포츠 클럽), 스포츠이벤트, 스포츠미디어, 스포츠와 관련된 공정성을 제시하였다. 우린 수 많은 과학문명을 수용하고, 변용하면서 스포츠문화를 향상시키고, 소비자에게 촉진 시키고 있다. 다만 그러 한 것을 규정화 하지 못하는 아쉬움이 있다. 보다 근본적인 부분에서의 노력, 즉 문화 규정짓기와 근본적인 방향성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고, 해야 한다. 스포츠문화의 재해석이라는 틀은 단지 해석의 차원이 아니라 무엇을 할 것인가에 대한 방향과 답을 끊임없이 찾아야 할 것이다.

Today's sports, by themselves, express a wide variety of phenomena and reproduce or imply complex social symbols. The definition of sports being transformed in combination with ideology, which has become a central issue in each era, has become more diverse in recent years. Recently, with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leading the social phenomenon, sports culture is producing a new phenomenon. In this era, we need the study in the question of how to understand and interpret sports culture is the right approach. The struggle for survival in each discipline was expressed as a reinterpretation of sports culture. This is to answer questions about how sports culture is consumed, spread and reinterpret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direction and directing point of sports culture. Based on such problem recognition, five types of answers to what sports culture consumes were presented. Based on this, the fairness related to school sports, sports society-club(sports clubs), sports events, sports media, and sports was suggested as a medium for the spread of sports culture. We are accepting and transforming numerous scientific civilizations to improve sports culture and to promote consumers. However, there is a pity not to define such a thing. Efforts at a more fundamental level, such as cultural regulation and fundamental directions, need to be discussed. The framework of reinterpretation of sports culture should be constantly looking for directions and answers about what to do, not just the level of interpretation.

목차
요 약
Abstract
1. 왜 스포츠문화인가?
2. 스포츠문화와 소비와의 관계
3. 스포츠문화의 확산 매개체는 무엇인가?
4. 스포츠문화와 사회변화는 관계 지향적
5. 요약 및 결론
References
저자
  • 구강본(한국교통대학교 스포츠학부) | Goo Kang-Bon (Division of Sports,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Transportation)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