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해양경찰·경찰 공무원의 외상(trauma)관련 국내 연구 동향 KCI 등재

A Review of Research Trends on Trauma in Maritime Police Officers and Police Officers in Korea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95282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해양환경안전학회지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and Safety)
해양환경안전학회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해양경찰공무원과 경찰공무원의 외상 관련 국내 연구 동향을 분석하여 향후 연구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는 것이다. KCI 등재학술지에 실린 해양경찰, 경찰의 외상 관련 논문 57편을 수집하여 논문의 기초사항, 연구대상, 연구방법, 측정도구, 관련 변인 등을 분석하였다. 해양경찰공무원과 경찰공무원의 외상 관련 연구는 2010년부터 시작되어 산발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었으며 57편 중 해양경찰공무원의 외상 관련 연구는 6편에 불과하였다. 연구자의 전공영역은 경찰행정분야(59.6 %)가 가장 많았고, 심리학(19.3 %), 의학 및 간호학(10.5 %), 사회복지학(8.8 %), 교육학(1.8 %) 영역에서 연구가 이루어졌다. 해양경찰공무원 대상 연구는 6편 중 1편 외에는 모두 경찰행정분야에서 수행되었다. 연구방법은 양적 연구방법(78.9 %)이 대부분이었다. 질적 연구는 3편이었는데 모두 경찰공무원을 대상으로 하였다. PTSD 척도는 IES-R-K가 가장 많이 사용되었고, PDS, PCL-5가 뒤를 이었다. 외상 관련 변인으로는 외상성 사건 경험, 회복력, 스트레스 대처 방법, 사회적 지지 순으로 연구가 많이 이루어졌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학문적 시사점과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을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research trends on trauma in maritime police officers and police officers in Korea and suggest future research directions. We collected 57 studies related to trauma in maritime police and police from Korean Citation Index listed journals and analyzed basic information, subjects, research methods, measurements and related variables. The results showed that studies have been conducted sporadically from 2010 and only six out of the 57 studies were conducted for maritime police officers. Police administration (59.6 %) was the most common area of researchers’ major, followed by psychology (19.3 %), medicine and nursing (10.5 %), social welfare (8.8 %) and education(1.8 %). Five out of the six maritime police studies were conducted in the police administration field. Most of the studies adopted the quantitative research method (78.9 %). Only three studies adopted the qualitative method, all of which targeted police officers. The IES-R-K was the most used PTSD scale, followed by the PDS and the PCL-5. Trauma-related variables were commonly conducted in the order of traumatic event experience, resilience, stress-coping methods and social support. Finally, the implications of the findings of our study and the suggestions for further research were discussed.

목차
요 약
Abstract
1. 서 론
2. 이론적 배경
    2.1 외상, PTSD, 외상 후 성장
    2.2 해양경찰공무원과 경찰공무원의 외상 연구 경향
3. 연구 방법
    3.1 분석 대상 논문 선정
    3.2 평정 절차
4. 분석 결과
    4.1 발행연도별 논문 수
    4.2 연구자 전공 영역
    4.3 연구대상별 분류
    4.4 연구방법별 분류
    4.5 측정도구별 분포
    4.6 연구변인별 분포
5. 논 의
References
저자
  • 박경련(차의과학대학교 의학과 임상상담심리전공) | Kyung Ryun Park (Major in Clinical and Counseling Psychology, Department of Medicine, General Graduate School, CHA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