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미얀마 모곡변성대 함보석 페그마타이트의 광물학적 및 지화학적 특징 KCI 등재

Mineralogical and Geochemical Characteristics of the Gemstone-bearing Pegmatite of Mogok Metamorphic Belt, Myanmar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95387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광물과 암석 (Korean Journal of Mineralogy and Petrology)
한국광물학회 (The Mineralogical Society Off Korea)
초록

모곡변성대는 과거 루비 광산들이 분포하던 지역으로, 주로 시생대 결정질암으로 구성된 고원지대이 며, 보석류가 충적층에서 확인되어 표사광상을 이루고 있다고 미얀마지질조사광물탐사국의 미발간보고서에 수록되어있다. 루비와 함께 확인되는 광물로는 첨정석, 석류석, 홍전기석 등이 있다. 보석이 발견되는 충적층을 이루는 자갈류는 주로 편마암 및 페그마타이트 쇄설물로 구성되어있다. 특히 신구, 모곡, 모메익 지역에는 보석을 함유하는 다수의 페그마타이트가 모곡변성암류, 섬록암 및 화강암 등을 관입하여 분포한다. 신구 페그마 타이트에서는 보석으로서 홍전기석, 고세나이트, 청인회석 및 자주 인회색이 산출된다. 모메익 페그마타이트에서는 보석으로서 버섯형 홍전기석, 페타라이트, 햄버어자이트, 폴류사이트 및 아쿠아마린이 산출된다. 모곡 페그마타이트에서는 보석으로서 황옥, 아쿠아마린, 고세나이트 및 허더라이트가 산출된다.

The Mogok metamorphic belt is a highland area mainly consisting of Archean crystalline rocks, where many ruby mines were distributed in the past, and jewelry has been identified in its alluvium as placer deposit. Minerals that are usually identified with ruby include spinel, garnet, and rubellite. The conglomerates that form the alluvium in which jewelry is found mainly consist of gneiss and clastic pegmatites. In Singu, Mogok, and Momeik areas, a number of pegmatites containing jewelry are distributed in the intrusions of Mogok metamorphic rocks, diorites, and granites. In Singu pegmatites, rubellite, goshenite, and blue and violet apatite occur as gems. In Momeik pegmatites, mushroom-type rubellite, petalite, hambergite, pollucite, and aquamarine can be found. In Mogok pegmatites, topaz, aquamarine, goshenite, and herderite occur are present.

목차
요 약
Abstract
서 론
모곡변성대의 보석
모곡 보석지대: 루비 및 사파이어
보석성인에 대한 초기 생각들
현재 관점들
모곡지역의 다른 보석들
펜롱(Pyenlong, Pyinlon) 루비
푸타오(Putao) 루비,말리 카(Mali Hka) 첨정석 및 베릴
모곡변성대 함보석 페그마타이트의광물학적 및 지화학적 특성
신구지역
모메익 지역
모곡지역
미얀마 모곡변성대 페그마타이트에서보석광물의 탐사 잠재성
결 론
REFERENCES
저자
  • 허철호(한국지질자원연구원 광물자원연구본부 자원탐사개발연구센터/과학기술연합대학원대학교 광물·지하수자원학과) | Chul-Ho Heo (Mineral Resources Development Research Center, Mineral Resources Research Division, 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and Mineral Resources/Department of Mineral and Groundwater Resources,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Corresponding author
  • 오일환(한국지질자원연구원 광물자원연구본부 자원탐사개발연구센터/과학기술연합대학원대학교 광물·지하수자원학과) | Il-Hwan Oh (Mineral Resources Development Research Center, Mineral Resources Research Division, 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and Mineral Resources/Department of Mineral and Groundwater Resources,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 조성준(한국지질자원연구원 광물자원연구본부 자원탐사개발연구센터) | Seong-Jun Cho (Mineral Resources Development Research Center, Mineral Resources Research Division, 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and Mineral Resour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