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강릉-동해 연안 퇴적물의 점토광물에 관한 연구 KCI 등재

Clay Mineralogy of the Gangneung-Donghae Coastal Sediment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00442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광물과 암석 (Korean Journal of Mineralogy and Petrology)
한국광물학회 (The Mineralogical Society Off Korea)
초록

한반도 3개 해역 중 동해 퇴적물의 점토광물에 관한 연구는 고환경 변화 측면에서의 일부 연구 외에는 거의 이루어진 바가 없다. 이번 연구에서는 2017년부터 2019년까지 강릉-동해 해역에서 상자형 시료채 취기를 이용하여 채취한 120개 퇴적물 시료에 대한 점토광물 특성과 분포 상태를 바탕으로 기원지를 추정하였다. 점토광물 함량은 일라이트, 녹니석, 카올리나이트, 스멕타이트 순으로 풍부하다. 수심 150 m 이하의 대륙붕 퇴적물은 대륙사면 퇴적물에 비하여 녹니석과 카올리나이트 함량은 많고 일라이트 결정도는 좋은데 반하여 일라이트와 스멕타이트 함량과 S/I 지수는 작다. 대륙붕 퇴적물의 경우 강릉 쪽은 녹니석 함량이 많고, 동해 쪽은 카올리나이트 함량이 많은데 이것은 육상 지질을 반영한 것으로 여겨진다. 이와 같은 점토광물의 여러 특징은 대륙붕 퇴적물과 대륙사면 퇴적물의 기원지가 다른 것을 시사한다. 대륙붕 퇴적물은 주변 하천을 통하여 유입되었고, 대륙사면 퇴적물은 해류에 의하여 남쪽으로부터 이동된 것으로 판단된다.

There have rarely been performed for the clay mineralogy of the East Sea sediments except for few studies about paleoenvironmental aspect. This study inferred the provenance of sediments based on the clay mineral characteristics and distribution pattern for the 120 sediment samples collected by the box corer from the Gangneung-Donghae area between 2017-2019. The relative proportions of the four major clay minerals are abundant in the order of illite, chlorite, kaolinite, and smectite. The continental shelf sediments below water depth 150 m have more chlorite and kaolinite content and better illite crystallinity, but less illite and smectite content, and S/I index than those of continental slope sediments. Clay mineral composition of the continental shelf sediments are influenced by the adjacent continental geology, because north site (Gangneung area) has more chlorite but south site (Donghae area) has more kaolinite. These characteristics and distribution pattern of clay minerals indicate that the provenance of sediments are different between continental shelf and continental slop. The continental shelf sediments may be introduced the study area by the adjacent small rivers whereas the continental slope sediment might be supplied by current from the south of the study area.

목차
요 약
Abstract
서 론
재료 및 방법
결과 및 토의
    점토광물의 함량 및 특성
    점토광물의 분포
    점토광물 이동 경로
결 론
REFERENCES
저자
  • 구효진(경상대학교 지질과학과 및 기초과학연구소) | Hyo Jin Koo (Department of Geology and Environmental Sciences and Research Institute of Natural Science,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 최헌수(한국지질자원연구원 석유해저연구본부) | Hunsoo Choi (Petroleum and Marine Research Division, 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and Mineral Resources)
  • 조현구(경상대학교 지질과학과 및 기초과학연구소) | Hyen Goo Cho (Department of Geology and Environmental Sciences and Research Institute of Natural Science,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