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필리핀 따알 화산의 2020년 분화 해설 KCI 등재

2020 Taal Volcano Eruption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00451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광물과 암석 (Korean Journal of Mineralogy and Petrology)
한국광물학회 (The Mineralogical Society Off Korea)
초록

필리핀의 따알 화산(Taal Volcano) 분화는 2020년 1월 12일에 시작되었다. 필리핀 화산학 및 지진학 연구원(PHIVOLCS)은 “몇 시간에서 며칠 내에 위험한 폭발성 분화가 발생할 수 있다.”고 판단하여 경보단계 (Alert Level) 4를 발령했다. 따알 화산섬의 주 분화구(Main Crater)에서 수증기 분화와 수증기마그마성 분화로 뿜어져 나온 화산재가 Calabarzon, Metro Manila, Central Luzon의 일부 및 Ilocos 지역의 Pangasinan 지역으로 확산되었고, 이로 인하여 학교 수업, 기업체 근무 및 항공편 운항이 중단되었다. 분화 이후 PHIVOLCS 는 2020년 1월 26일 따알의 화산활동이 일관되진 않지만 서서히 감소하는 것을 관찰하여, 경보단계를 3으로 한 단계 낮추었다. 2월 14일에는 화산활동의 전반적인 감소 경향 때문에 경보단계가 2로 설정되었으나, 이것 은 분화의 위협이 사라졌음을 의미하지 않는다. 또한 불안정이 상승하는 징후가 있을 경우 언제라도 경보단계가 3으로 상향될 수 있다.

An eruption of Taal Volcano in the Philippines began on January 12, 2020. The Philippine Institute of Volcanology and Seismology (PHIVOLCS) subsequently issued an Alert Level 4, indicating that “a hazardous explosive eruption is possible within hours to days.” It was a phreatic eruption and phreatomagmatic eruption from the main crater that spewed ashes to Calabarzon, Metro Manila, some parts of Central Luzon, and Pangasinan in Ilocos Region, resulting in the suspension of classes, work schedules, and flights. By January 26, 2020, PHIVOLCS observed inconsistent, but decreasing volcanic activity in Taal, prompting the agency to downgrade its warning to Alert Level 3. After February 14, Alert status was set to Level 2 because of overall decreasing trend of volcanic activities, but it does not mean that the threat of an eruption has disappeared. In addition, the Alert Level can be raised to Alert Level 3 if there is a symptom of increasing unrest at any time.

목차
요 약
Abstract
서 언
따알 화산의 화산활동
    지진 활동
인공위성 영상 분석자료
    프린지의 해석과 인터페로그램
    화산성 지진/틈새와 지표변형과의 관계
결 론
REFERENCES
저자
  • 장철우(부산대학교 환경연구원/화산특화연구센터) | Cheolwoo Chang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Pusan National University/Volcano Specialized Research Center, Pusan National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
  • 윤성효(부산대학교 지구과학교육과/화산특화연구센터) | Sung-Hyo Yun (Department of Earth Science Education, Pusan National University/Volcano Specialized Research Center, Pusan National Univer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