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온라인 개학에 대처하는 체육교사들의 노력 과정 KCI 등재

Physical Education Teachers' Effort Process in Responding to the Online Reopening of School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01711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교원교육 (Korean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Center For Education Research)
초록

본 연구는 원격 체육수업을 통해 코로나-19에 대응하는 체육교사들의 어려움과 노력 과정을 심층적으로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원격 체육수업의 개선방안을 탐색하고자 하는 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부산광역시 체육교과연구회 커뮤니티 소속 체육교사 344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을 실시하고, 체육교사 6명을 대상으로 FGI(Focus Group Interview)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온라인 개학 초반부에 체육교사들은 처음 겪어보는 온라인 개학과 원격수업에 대해 심각한 스트레스를 받으며 거부감을 보였으나 원격수업을 극복하고자 하는 의지를 보였다. 둘째, 원격수업을 실시하는 과정에서 체육교사들은 수많은 실패를 경험하면서도 집단지성의 힘과 집단 공동체성을 발휘해 원격수업에 도전하면서 극복하고자 하는 움직임을 보였다. 셋째, 체육교사들은 현재의 위기를 기회로 만들려는 노력을 기울이고 있었으며, 또다시 겪게 될지 모르는 미래의 원격수업에 미리 대비하도록 다양한 콘텐츠와 교수·학습 방법을 개발해야 한다고 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원격 체육수업을 위한 교육계와 교사들의 다양한 노력의 필요성에 대해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eply understand the difficulties and efforts of physical education teachers responding to Covid-19 through remote physical education classes and to explore ways to improve distance learning physical education classes based on them. To this end,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with 344 physical education teachers belonging to the Busan Metropolitan City Sports Curriculum Research Association community, and a Focus Group Interview (FGI) was conducted with six physical education teacher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at the beginning of the online school, physical education teachers felt extreme stress and initially refused, but later showed a willingness to overcome distance learning physical education classes. Second, in the process of conducting distance learning physical education classes, physical education teachers experienced numerous failures but moved to overcome problems associated with remote classes by exercising the power of collective intelligence and collective community. Third, physical education teachers made efforts to turn the current crisis into an opportunity, and they noted that various content materials, along with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should be developed in order to prepare for future distance learning physical education classes that may be experienced agai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necessity of various efforts of the educational community and teachers for distance physical education classes was suggested.

목차
요 약
Ⅰ. 서론
Ⅱ. 연구방법
    1. 연구 참여자
    2. 자료 수집
    3. 자료 분석
    4. 연구의 진실성 및 윤리성
Ⅲ. 연구결과 및 논의
    1. 체육교사들의 원격수업 노력과정에 대한 범주화
    2. 사상초유의 온라인 개학으로 인한 두려움
    3. 원격수업을 위한 체육교사들의 노력과정
    4. 코로나-19의 위기를 기회로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저자
  • 조건상(부산대학교) | Cho Gun-Sang (Pusan National University)
  • 권용철(부산대학교) | Kwon Yong-Chul (Pusan National University) 교신저자
  • 양동석(부산대학교) | Yang Dong-Suk (Pusan National Univer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