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운동발달 수준에 따른 손가락의 최대근력과 신경역학적 특성에 관한 예비연구 KCI 등재

A Preliminary Study of Finger Maximum Voluntary Force and Finger Neuromechanical Characteristic with Respect to Motor Development Level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03967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Korean Society of Sport Psychology (KJSP))
한국스포츠심리학회 (Korean Society Of Sport Psychology)
초록

목적: 본 연구는 아동의 운동발달 수준에 따른 손가락의 최대근력과 신경역학적 특성을 규명하기 위한 예비연구 이다. 방법: 아동의 운동발달 수준을 평가하기 위하여 경기도 S시 지역아동발달센터에서 모집한 초등학교 2-4학 년생 31명을 대상으로 Movement Assessment Battery for Children-2(MABC-2)를 실시하였다. 이 중 보호자와 아 동이 본 실험에 참여하는 것을 동의한 일반아동 8명과 운동발달 지연이 의심되는 아동 6명을 대상으로 힘 센서를 사용하여 각각 왼손, 오른손, 양손의 손가락 최대근력을 측정하였다. 측정된 최대근력을 통해 각 조건의 손가락 최대근력과 신경역학적 특성을 의미하는 수지독립성을 산출하였으며, 집단의 차이를 규명하기 위해 독립 t-검정 및 맨-휘트니 U 검정을 실시하였다. 결과: 운동발달에 지연이 의심되는 아동은 일반아동과 동일한 수준의 손가락 근력을 지녔다. 그러나 양손 간 수지독립성의 경우 운동발달 지연이 의심되는 아동의 비우세 손이 더 독립적으로 움직이는 특성을 보였다. 결론: 운동발달 지연이 의심되는 아동이 일반아동에 비해 소근운동기술이 부족 한 원인은 손가락 근력의 문제라기보다 손가락 힘을 발생시킬 때 나타나는 신경역학적 특성인 수지독립성의 차이에 따른 것으로 생각된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운동협응 능력이 부족한 아동들의 손가락 제어 기전을 이해하기 위 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maximum voluntary force(MVF) and neuromechanical characteristics of hand digit with regard to children’s motor development level. Methods: Movement assessment battery for children-2(MABC-2) is used to screen at-risk children with delayed motor development and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TD) in thirty-one 2nd to 4th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of regional child development center located in S city, Gyeonggi-do Province. Six at-risk children with delayed motor development and Eight TD participated as subjects in this study voluntarily and were measured finger MVF with three conditions(left hand, right hand, and both hands) using force sensors. We calculated MVF by each conditions and finger independence which means neuromechanical characteristics. An independent-sample t-test and a Mann-Whitney U test were conducted to determine differences between the groups. Result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groups in terms of finger muscular strength. In the case of intra-hand finger independence, however, children suspected in delayed motor development performed more independently in non-dominant hand. Conclusion: The results suggested that the possible reason for the lack of fine motor skill in at-risk children with delayed motor development might be due to the difference of the finger independence that occurs when generating finger force rather than finger MVF. In addition, it could be used as fundamental data for understanding of control mechanism of hand digit in children with deficient motor coordination ability.

목차
I. 서 론
Ⅱ. 연구방법
    1. 연구대상
    2. 연구도구
    3. 실험절차
    4. 자료처리
Ⅲ. 연구결과 및 논의
    1. 운동발달 수준에 따른 집단의 차이
    2. 손가락의 최대근력
    3. 수지독립성
Ⅳ. 요약 및 제언
참고문헌
저자
  • 남수미(서울대학교) | SooMi Nam (Seoul National University)
  • 김민주(경희대학교 학술연구교수) | Min Joo Kim (Kyung Hee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