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나는 순수했다!: 아동기에 대한 자서전적 기억과 친사회적 행동 KCI 등재

Autobiographical Memory of Childhood and Prosocial Behavior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06569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5,200원
감성과학 (Korean Journal of the science of Emotion & sensibility)
한국감성과학회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 Sensibility)
초록

지금까지 선행연구에서는 아동기에 대한 자서전적 기억이 한 개인의 자기개념에 영향을 끼침을 보고하였다. 반면, 아동기 경험의 회상방식이 성인기의 친사회적 행동에 어떻게 영향을 끼치는지에 대한 연구는 거의 수행되지 않았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아동기에 대한 자서전적 기억과 친사회적 행동의 관계를 해석수준에 따라 분석하려 한다. 연구 1에서는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아동기 또는 최근 일상의 경험을 회상하는 조건에서 다양한 친사회적 행동에 대한 동기화가 달라지는지를 비교하였다. 연구 2에서는 아동기 경험을 추상적 또는 구체적으로 회상하는 방식이 해석수준의 차이를 통해 친사회적 행동에 영향을 끼치는지를 검증하였다. 그 결과 연구 1에서는 아동기의 경험을 회상 하는 조건에서 친사회적 행동의 동기화정도가 높게 나타났다. 또한 연구참가자들은 아동기의 경험을 회상하는 조건에서 최근 일상을 회상하는 조건보다 자신의 도덕적 순수함에 대해 더 높게 평정하였다. 연구 2에서는 아동기의 도움행동을 구체적으로 회상하는 조건에서 아동기의 경험을 추상적으로 회상하는 조건보다 향후 친사회적 행동의 동기화가 감소됨을 보여주었다. 이 결과는 아동기의 경험에 대한 해석수준(추상적 vs. 구체적)과 도덕적 면허의 감정이 친사회적 행동의 동기화에 영향을 끼칠 가능성을 보여준다. 본 연구는 한 개인의 친사회적 행동과 연관된 인지과정 의 변인을 탐색하여 선행연구를 확장했다는데 의의가 있다.

Previous studies have demonstrated that childhood memories can impact self-concepts. However, scant research has been conducted to determine whether and how the activation of childhood memories relates to the motivation of prosocial behaviors. Thus, this study investigated whether childhood memories facilitated prosocial behaviors through implicitly activating moral purity and how differently an abstract (vs. a concrete) construal level of autobiographical memories evoke prosocial intention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Study 1, the participants in the experimental condition of childhood memories were more motivated to perform prosocial behaviors than those in the controlled condition of recalling recent mundane activities. In the experimental condition, moral purity was activated more strongly than in the control condition. Study 2 demonstrated that participants in the “concrete” condition of childhood memories tended to the lower levels of prosocial motivation than those in the “abstract” condition wherein they were counting and describing good deeds from their childhood in detail. These results indicate that different construal levels (abstract vs. concrete) can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hood memories and prosocial behaviors. This study contributes to extending previous research regarding the determinants of motivating prosocial behaviors in cognitive processes.

목차
Abstract
요 약
1. 서론
2. 이론적 배경
    2.1. 자서전적 기억과 도덕적 자기개념
    2.2. 해석수준과 친사회적 행동
    2.3. 자서전적 기억의 해석수준과 친사회적 행동
3. 연구 1
    3.1. 연구방법 및 절차
    3.2. 연구결과 및 논의
4. 연구 2
    4.1. 연구방법 및 절차
    4.2. 연구결과 및 논의
5. 결론
REFERENCES
저자
  • 신홍임(순천대학교 자유전공학부) | Hong Im Shin 교신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