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향유(鄕儒) 함인재(含忍齋) 정국채(鄭國采)의 사서경학(四書經學) KCI 등재

The Four Sacred Books (四書經學) of County Confucian Scholar(鄕儒) Haminjae(含忍齋) Jeong Guk-chae(鄭國采)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08436
  • DOIhttps://doi.org/10.35203/EACT.2021.10.161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7,000원
동방문화와 사상 (East Asian Culture and Thought)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동양학연구소 (Institute of Oriental Studies)
초록

본고는 경상우도에 연고를 둔 조선 후기 노론⋅호론계의 재야 유학자인 함인재 정국채가 선보인 사서경학의 세계를 소개하는 것을 목표로 삼았다. 이를 위해 정국채가 남긴 문집인 『함인재유고(단)』에 수록된 『논어』⋅『맹자』⋅『대학』⋅『중용』 방면의 기록들을 대상으로 한 검토 작업을 수행하게 되었다. 그 결과 정국 채의 경우 문자 학습과 병행된 가학적 연원에서 출발한 끝에, 차츰 논맹과 용학으로 이뤄진 사서경학의 세계로 진입하였던 것으로 파악되었다. 그런데 정국채가 선보인 사서경학은 정치한 담론들을 결집시킨 경전 해석학의 세계와는 대조를 연출하고 있다. 왜냐하면 정국채가 남긴 사서경학의 경우, 논의 전개가 극히 간략하면서도 일회성 수준에 그친 사례들이 많았기 때문이다. 또한 주자주에 대한 비판적 언술도 발견되지 않고 있는데, 이는 본격 적인 경전 해석학과는 분명한 거리를 유지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그런데 『함인재유고(단)』에는 『시경』⋅『서경』에 대한 기록이 거의 전무할뿐더러, 여타의 경전들에 대해서도 극히 간략한 기록만이 수록되어 있다. 이에 반해 사서경학 에 대해서는 상대적으로 많은 분량의 언술을 남겼는데, 이는 정국채가 추구했 던 학문세계에서 사서가 차지하는 비중을 간접적으로 확인시켜준다. 특히 정국채는 『중용』에 큰 의미를 부여한 특징이 발견되며, 『논어』⋅『맹자』⋅『대학』의 경우는 그가 착지했던 사상적 입각점이 원시유학이었다는 사실을 확인시켜준다. 한편 정국채의 사서경학이 다소 단조로웠던 이면에는, 주자의 경전 해석학에 반기를 들기 어려웠던 노론계 학풍과도 무관하지 않았 을 것으로 추정된다. 결과적으로 노론 호론계 유자였던 정국채가 선보인 사서 경학의 세계는 상대적으로 연구 성과가 미미한 향반 계층의 지식인이 이룩한 경학적 수준의 한 실태를 확인시켜주고 있다는 점에서 일정한 연구사적 의의를 찾을 수 있을 듯하다. 왜냐하면 기존 한국유학사상사에 대한 일반적인 연구 추이란, 이미 그 존재가 드러나 잘 알려진 중량감 있는 인물들에 국한된 경향을 보여주고 있기 때문이다.

This study aimed at introducing the world of understanding of the four sacred books displayed by Haminjae Jeong Guk-chae who was born at Gyeongsangu-do (Right part of Kyongsang Province, 慶尙右道) around 19th century and was a nongovernment Confucian scholar belonging to the Old Doctrine (老論). For the foregoing, this study examined all the records of 『Lunyu(論語)』⋅『Mencius(孟子)』⋅『Daxue(大學)』⋅『Zhongyong(中庸)』 included in the collection of Jeong Guk-chae’s works『 Haminjae's Posthumous Work (含忍齋遺稿)』. Started with Jiaxue (家學), homeschooling) in his earliest days, Jeong Guk-chae went through the course of entering the world of original Confucianism (原始儒學) which is represented by four books. The understanding of the four books displayed by Jeong Guk-chae is maintaining a distance from the world of Jingxuelun (經學論) of rich contents which is concentration a series of discourses and exquisite. It is because that development of discussion in Jeong Guk-chae’s understanding is extremely simplified and ends in a one-off in many cases, falling short of full-scale hermeneutics(解釋學) of Jingzhuan(經傳, scriptures). Especially, Jeong Guk-chae placed much weight on 『Zhongyong (The Doctrine of the Mean』, confirming that an ideological footing point of discourses about 『Lunyu (Confucian Analects)』⋅『Mencius』⋅『Daxue』he landed was original Confucianism at first. To conclude, the world of understanding of the four books displayed by Jeong Guk-chae is considered to have its own historical significance in a sense that it confirms the reality of intellectual level achieved by the intellectual who was a noble countryman (鄕班) around 19th century.

목차
논문 초록
Ⅰ. 머리말
Ⅱ. 가학(家學)의 계승과 수학기
Ⅲ. 함인재의 사서경학
Ⅳ.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
  • 김종수(충북대학교 우암연구소) | Kim Jong-su (Visiting Researcher at Wooam Research Institute, Chungbuk National Univ.)