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군 조직에서 일과 삶의 균형이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 - 조절된 매개효과 모형 - KCI 등재

A Moderated Mediation Model of the Link between Work-Life Balance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in Military Organization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09842
  • DOIhttps://doi.org/10.14396/jhrmr.2021.28.3.87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6,700원
인적자원관리연구 (Journal of Human Resource Management Research)
한국인적자원관리학회 (Korean Academy Of Human Resource Management)
초록

일과 삶의 균형에 대한 관심의 증대와 더불어 수많은 연구들이 일과 삶의 균형의 효과성을 규명하고 있다. 이러한 기존의 연구들은 일과 삶의 균형에 대한 다면적인 측면을 살피지 않아서 일과 삶의 균형이 조직구성원들에게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온전히 이해하는 데 한계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일과 삶의 균형에 대한 선행연구들을 토대로 일과 삶의 균형을 일-성장, 일-가정, 일-여가 균형으로 구분하고, 이들이 군 조직에서 부대원들에게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탐구한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는 일과 삶의 균형은 군부대원들의 사기를 진작하는 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부대원들의 고양된 사기가 조직지향 조직시 민행동을 이끌어 낼 것으로 예측한다. 즉, 본 연구는 사기진작이 일과 삶의 균형과 조직지향 조직시민행동과의 관계를 매개할 것으로 주장한다. 또한, 일과 삶의 균형이 사기진작에 미치는 효과는 부대원의 근무환 경(경계부대 대 일반부대)에 따라 차별적으로 나타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근무환경의 조절효과와 모형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살펴본다. 이와 같은 가설들을 검증하고자 220명의 군 간부들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불성실한 응답을 제외한 214부의 자료를 실증분석에 활용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 과 같다. 첫째, 일-성장, 일-여가 균형과 사기진작은 긍정적인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기진 작과 조직지향 조직시민행동 간에 긍정적인 관계가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셋째, 일-성장 균형과 조직지 향 조직시민행동과의 관계와 일-여가 균형과 조직지향 조직시민행동과의 관계는 사기진작에 의해 매개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일-성장 균형과 사기진작과의 관계와 일-가정 균형과 사기진작의 관계는 일반부대원에 비해 경계부대원에게서 약화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다섯째, 일-성장 균형이 부대원의 사기 진작을 통해 조직지향 조직시민행동으로 이어지는 간접효과에서 근무환경이 조절된 매개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끝으로, 본 연구결과의 이론적ㆍ실무적 의의와 한계점 및 향후 연구에 대해서 논의한다.

Along with the burgeoning interest in work-life balance, numerous studies have investigated how work-life balance affects individual consequences. Since these existing studies have paid little attention to multifaceted work-life balance, we inadequately understand how work-life balance affects organizational members. Building on the prior literature on work-life balance, thus, we classify work-life balance into three: work-growth balance, work-family balance, and work-leisure balance, and explore how those influence organizational members in military organizations. Specifically, we predict that work-life balance helps individuals in military organizations enhance their morale and that such heightened morale leads to organization-directe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OCB). In other words, we contend that morale-enhancement will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life balance and organization-directed OCB. Also, the impact of work-life balance on morale-enhancement can be differentiated depending on the working environment of organizational members (security versus general forces). Thus, we examine the moderating of morale-enhancement and eventually test a moderated mediation effect of morale-enhancement. To test our hypotheses, we conducted a survey of 220 military officials, and used 214 survey questionnaires excluding unfaithful and incomplete responses to perform an empirical analysis. Our empirical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re have been the positive link between work-growth balance and morale and the positive link between work-leisure balance. Second, morale is positively related to organization-oriented OCB. Third,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growth balance and organization-oriented OCB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leisure balance and organization-oriented OCB are mediated by morale-enhancement, respectively. Fourth, the positive link between work-growth balance and morale and the positive link between work-family balance and morale become weaker for organizational members in security forces, respectively. Fifth, we find strong support for the moderated mediation effect of morale-enhancement. Finally, we discuss theoretical and empirical implications of our findings.

목차
국문초록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1. 일과 삶의 균형
    2. 일과 삶 균형의 영역: 성장, 가정, 여가
    3. 사기진작
    4. 조직시민행동
    5. 군 근무환경: 경계부대 대 일반부대
Ⅲ. 가설 설정
    1. 일-성장, 일-가정, 일-여가 균형과 사기진작
    2. 사기진작과 조직지향 조직시민행동
    3. 사기진작의 매개효과
    4. 군 근무환경의 조절효과
    5. 군 근무환경의 조절된 매개효과
Ⅳ. 연구방법
    1. 표본 및 데이터 수집
    2. 변수의 측정
    3. 분석방법
Ⅴ. 분석결과
    1. 측정도구의 타당도와 신뢰도
    2. 기술통계량 및 상관관계
    3. 가설검증
Ⅵ. 결론 및 토의
    1. 결 론
    2. 연구의 의의와 시사점
    3. 연구의 한계 및 향후 연구과제
참 고 문 헌
저자
  • 강태호(해군대학) | Kang Tae Ho
  • 이지만(연세대학교 경영대학) | Lee Ji Man
  • 이주일(울산대학교 경영대학) | Lee Ju Il 교신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