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조선 16세기 기영연(耆英宴)에 사용된 사연용(賜宴用) 화준(花樽)․주준(酒樽)의 조형 특징과 진설 방식-<선조조기영회도(宣祖朝耆英會圖)>를 중심으로- KCI 등재

The characteristics of the design and arrangement of Hwa-Zun(花樽) and Joo-Zun(酒樽) for bestowal banquet in the 16th century of the Joseon Dynasty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13313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6,900원
東洋美術史學 (동양미술사학)
동양미술사학회 (Association of Asian Art History)
초록

본 글은 선조 17년(1584)과 18년(1585)에 개최된 기영연(耆英宴)을 그림으로 기록한 <선조조기영회도(宣祖朝耆英會圖)>를 중심으로 16세기 사연용(賜宴用) 화준(花樽)과 주 준(酒樽)의 조형 특징을 구명하고, 사연에 있어서 두 종류 준(樽)의 진설 방식과 및 진설 의 미를 고찰하였다. 연회에 등장하는 여러 기물 가운데 준화(樽花)를 꽂기 위한 화준(花樽)과 선온(宣醞)을 담았을 것으로 보이는 주준(酒樽)은 16세기 관요에서 제작된 좋은 품질의 백 자․청화백자로 추정된다. 사연용 화준은 조선 전기 국가 의례서(儀禮書) 및 조선 후기 궁 중연(宮中宴) 관련 기록에서 확인되는 호(壺)와 재질․기형․품질에서 크게 다르지 않았을 것이다. 그러나 장식에 있어서 문양을 생략하거나 청화(靑畵) 문양이 장식되었을 경우 소재 는 대나무․매화․화당초문 등 화훼문(花卉文) 계통을 채택함으로써, 사연의 설행(設行) 목적을 투영하는 동시에 궁중연 용준(龍樽)과 차별화하였을 가능성이 있다. <선조조기영회도> 에 묘사된 주준용 뚜껑은 입구의 가장자리가 위로 살짝 들려 있는 특징에 기인하여 연엽(蓮 葉)형 뚜껑으로 명명하였다. 연엽형 뚜껑은 국가 의례용기, 가마터 출토품, 전세품 등에서도 공통으로 확인되고 있는 만큼, 뚜껑의 사용처와 용도에는 왕실 및 사연용 주준이 포함되었을 것이다. 16세기 <선조조기영회도>의 화준․주준 진설 방식과 사연도(賜宴圖) 속 진설 방식 을 종합해보면, 16세기 화준은 다양하고 유연한 방식으로 진설 되지만, 주준의 경우 획일화 되고 고정된 진설 방식을 보인다. 화준․주준의 진설 방식은 연회의 주최자인 왕의 교체, 임 진왜란으로 인한 제작 여건 및 관련 기록 소실로 인한 고증의 어려움 등으로 인하여 17세기 이후 점차 변하였을 것이다. 따라서 16세기 사연용 화준․주준의 진설 방식은 18세기 이후 양상과는 상반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더불어 16세기 기영연에 화준․주준이 모두 진설 되 었다는 사실은 이 연회가 문헌에 기록된 바와 같이 우대된 사연임을 증명하는 또 하나의 근 거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This article focuses on Hwa-Zun(花樽) and Joo-Zun(酒樽) appearing in <The Painting of Giyeonghoe(耆英會圖)>, which records a bestowal banquet for Giyeonghoe, ‘Giyeongyeon(耆英宴)’ held in the 17~18th year of King Seonjo(1584, 1585). At this feast given by the king, the Hwa-Zun is used for flower arrangement like a vase, and the Joo-Zun contains the alcohol given by the king like a pot with lid. The two objects are representative elements that prove that this banquet is a feast given by the king, and an indicator of the dignity of the bestowal banquet. The shapes of Hwa-Zun and Joo-Zun in <The Painting of Giyeonghoe> are consistent with those of white porcelain and blue and white porcelain excavated from Gwanyo(Royal Kiln, 官窯) in the 16th century. Hwa-Zun is the highest quality white porcelain, blue and white porcelain, and decorative patterns is bamboo, plum blossoms, and arabesque pattern. In other words, it was confirmed that it was not the Zun with dragon patterns(龍樽) used in the national ritual in the early Joseon Dynasty and used in the royal court during the late Joseon Dynasty. The lid of the Joo-Zun in the painting is depicted as a lotus leaf, which can also be found in the 16th century's Gwanyo excavations. Placement method of Hwa-Zun and Joo-Zun depicted in various recordings paintings can be summarized according to the timing and type of banquet. As result, at the banquet in the early Joseon Dynasty, Hwa-Zun and Joo-Zun are expected to have placement method in a way that is opposite to the late Joseon Dynasty. Considering tha Hwa-Zun and Joo-Zun were not necessarily used in all banquets, the fact that both Hwa-Zun and Joo-Zun appeared at the 16th century Giyeonghoe(耆英會) will be the basis for the recognition of this bestowal banquet as a high-quality bestowal banquet.

목차
국문초록
Ⅰ. 머리말
Ⅱ. <宣祖朝耆英會圖>에 묘사된사연용 화준․주준의 조형 특징
    1. 화준(花樽)
    2. 주준(酒樽)
Ⅲ. 16세기 기영연 및 사연의 화준․주준 진설 방식과 의미
Ⅳ. 맺음말
참고문헌
저자
  • 안세진(고려대학교대학원 고고미술사학과 박사과정) | Ahn, Se-jin (Ph.D. Program in Archaeological Art History at Korea Univer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