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일명 당김석(引石)의 발굴 사례와 형식 분류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16181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한국건축역사학회 (Korean Association of Architectural History)
초록

최근까지의 발굴조사 결과 일명 당김석(引石)은 삼국시기 이후 조선시기에 이르기까지 고분, 산성, 축대 등 다양한 유적 에 사용되었다. 당김석은 턱의 유무에 따라 유악식과 무악식으로 구분할 수 있고, 전자는 다시 생김새에 따라 돌못형과 첨 차형, 장대석형 등으로 세분할 수 있다. 그리고 후자는 쐐기형과 장대석형으로 나눌 수 있다. 삼국시기의 당김석은 무악식의 쐐기형이 주류를 이루고 있으며, 금산 백령성(백제 사비기)에서 턱이 있는 유악식의 돌못 형이 초보적 형태로 검출되었다. 돌못형은 이후 통일신라기의 경주 발천유적을 비롯한 감은사지, 전 황복사지, 불국사, 남산 신성, 월정교, 춘양교, 합천 영암사지 등 다양한 곳에 사용되었다. 유악식 첨차형 당김석은 불국사 전면의 가구식축대 및 석굴암 후실의 돔 천정부에서 살필 수 있고, 장대석형 당김석은 고려시기 유적인 개성 고려궁성의 축대 및 왕릉에서 확인되고 있다. 당김석은 석축 과정에서 기능적으로 사용되는 부재이기에 앞으로도 좀 더 다양한 형식이 등장할 수 있다. 따라서 많은 관심과 연구가 수반되기를 기대한다.

저자
  • 조원창(한얼문화유산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