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조경수의 생산 관리를 위한 식재 수종 및 규모의 시계열 분석 - 수도권 민간건설 아파트 단지를 중심으로 - KCI 등재

Time Series Analysis of Planting Species and Quantities for the Production Management of Landscaping Trees - Focusing on Apartment Complexes of Private Construction in the Metro-politan Area -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19099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200원
휴양및경관연구 (Journal of Recreation and Landscape)
전북대학교 부설 휴양및경관계획연구소 (Institute of Recreation and Landscape Planning)
초록

본 연구는 아파트 단지에 식재된 조경수의 시계열 변화를 파악하고 조경수 중 소나무의 수요를 예측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2003년부터 2020년까지 수도권의 아파트 단지에 사용된 수목의 종수는 평균 51종이며 2000년대 중후반에 비하여 2010년대 후반에는 다양한 종류의 수목이 사용되었다. 식재 수량은 평균 149,567주/1단지이며 시계열 변화가 두드러지지 않는다. 상록수와 낙엽수의 수종 비율은 2:8 이지만 식재된 수량은 3.5:6.5의 비율이었다. 상록수는 낙엽수에 비하여 한 수종의 식재량이 많은 반면에 낙엽수는 상록수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다양한 수종이 식재되고 있다. 교목과 관목의 수종 비율은 6:4이지만 식재량은 관목 97.6%로 식재량에 비해 식재된 수목의 종류는 다양하지 않다. 조경수 중에서도 선호도와 이용가치가 높은 소나무의 식재현황을 분석하면 식재 수량은 증가하는 경향이며 특히, 근원직경이 큰 소나무의 식재 비율이 증가하고 있다. 아파트 단지의 소나무 식재수요를 예측하면 식재량은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이며 특히 근원직경 40㎝ 이상의 특수목의 수요가 증가할 것이다. 이러한 조경수의 수요변화에 대응하여 다양한 식물소재를 발굴하고 생산할 수 있는 전략이 요구된다. 특히 지속적으로 소나무의 대형화가 예측되므로 시장에서 요구하는 수형과 규격을 갖춘 소나무가 적기에 공급될 수 있도록 생산관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understand the change time-series of landscape trees planted in apartment complexes and to predict the demand for pine trees among landscape trees. From 2003 to 2020, the average number of trees used in apartment complexes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were 51, and various types of trees were used in the late 2010s compared to the mid-to-late 2000s. The average planting quantity was 149,567trees/1 complex, and the time series change was not noticeable. Comparing evergreen trees and deciduous trees, there was a difference between the planted species and the planted quantity. Compared to evergreen trees, deciduous trees were planted with relatively diverse species. Evergreen trees were planted in large quantities, with fewer varieties than deciduous trees. The types of trees and shrubs consist of a ratio of 6:4, and shrubs accounted for 97.6% of the total planting volume. Compared to the amount of planting, the varieties of trees planted are not diverse. When analyzing the planting status of pine trees with high preference and use value of landscaping trees, the planting volume tends to increase, and in particular, the planting ratio of large pine trees is increasing. Predicting the demand for pine tree planting in apartment complexes will continue to increase the amount of planting, especially with special trees with a root diameter of 40 cm or more. In response to these changes in demand for landscaping trees, a strategy is required to discover and produce various plant materials. In particular, since the demand for large pine trees is continuously expected to increase, production management should be carried out so that pine trees with the shape and specifications required by the market can be supplied.

목차
ABSTRACT
국문초록
1. 서론
2. 이론적 고찰
    2.1 조경수 생산 현황
    2.2 국내외 조경수 생산 및 수요 여건 변화
    2.3 아파트단지 경관에서의 조경수 역할
3. 연구방법
    3.1 조사 및 분석방법
    3.2 수요 예측방법
4. 결과 및 고찰
    4.1. 성상별 조경수 시계열 변화
    4.2. 소나무 식재의 시계열 변화
5. 결론
References
저자
  • 정나라(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도시농업과) | Nara Jeong (Urban Agriculture Division, National Institute of Horticultural & Herbal Science, RDA) Corresponding author
  • 안득수(전북대학교 조경학과) | Deugsoo Ahn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Jeonbuk National University)